<p></p><br /><br />어제 민노총이 강행한 집회에 8천 명이 몰리면서 어렵게 지켜온 방역이 뒤흔들렸습니다.<br> <br>정부는 오늘 “끝까지 책임을 묻겠다”며 강경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<br>서울시가 집회 참가자를 전원 고발했고 경찰은 특별수사본부까지 꾸렸습니다. <br> <br>여현교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시 관계자가 경찰관에게 고발장을 건넵니다. <br> <br>감염병 예방법을 어겼다며 민노총 집회에 참가한 전원을 고발한 겁니다. <br> <br>어제 민노총은 정부의 만류에도 종로 일대에서 8천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집회를 강행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여러분들은 해산하지 않고 계속해서 불법 집회시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경찰도 특별수사본부를 꾸리고 수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<br>거리두기를 지키지 않고 구호를 외치거나 도로를 점령한 게 불법성이 있다고 본 겁니다. <br><br>정부도 엄정한 대응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김부겸 / 국무총리] <br>"경찰청과 서울시는 확인된 위법 행위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끝까지 책임을 물어주시기 바랍니다." <br> <br>경찰은 우선 집회 주최자와 주요 참가자를 수사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이 때문에 민노총이 작성한 참석자 명부나 휴대전화 기지국 정보는 확보하지 않은 걸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시간이 지체될수록 일반 참가자 관련 방역에 허점이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지난해 전광훈 목사 주도의 광복절 집회 땐 3일 만에 방역 당국과 경찰이 통신사 기지국 정보를 요청했고, 인근에 있던 시민에겐 코로나 검사를 받으라는 문자도 보냈습니다. <br><br>당시만 해도 하루 신규 확진자가 1백 명에서 3백 명대 수준이었지만, 민노총 집회 전후에는 80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. <br><br>수도권 중심으로 변이 바이러스까지 확산하면서 민노총 집회발 감염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><br>여현교 기자입니다.<br> <br>1way@donga.com<br>영상취재: 윤재영 <br>영상편집: 김미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