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차 피해 심각…군사경찰 책임자 등 봐주기 의혹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모 중사는 생전에 성추행 피해 사실이 노출돼 다른 부대로 옮긴 이후에도 심각한 2차 피해를 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또 부실 수사 의혹이 확인됐음에도 군사경찰 책임자인 조사본부장 등에 대한 봐주기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군검찰 수사에 따르면 이 중사가 20비행단에서 15비행단으로 소속을 변경하는 과정에 관련 공문서에는 성추행 피해 사실이 고스란히 노출됐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이 중사가 전속 신고를 하기 전부터 15비행단에서는 성추행 피해자라는 사실이 간부들 사이에 공공연히 퍼져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 "중대장 G 대위는 '이번에 '가' 비행단에서 전입 오는 피해자에 성 관련된 일로 추측되는 사건이 있었다'고 말한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."<br /><br />상당수 인원이 성추행 피해 사실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이 중사는 부대를 옮긴 직후 17곳이나 방문해 전입 신고를 해야 했습니다.<br /><br />군검찰은 20비행단과 공군 본부가 성추행 피해 신고를 받고도 피해자와 가해자 분리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의혹도 상당 부분 사실로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공군 본부의 늑장 처리로 가해자 장모 중사는 사건 17일 만에야 다른 부대로 파견됐고, 피해자는 청원 휴가 기간 장 중사와 900여m 떨어진 영내 관사에서 지내야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당시 이 중사 숙소는 2차 가해자인 노모 준위 숙소와 불과 30여m 거리였습니다.<br /><br />군사경찰 조직을 총괄하는 국방부 조사본부의 대응에서도 문제가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 "(국방부) 조사본부는 초동수사 관련자인 '가' 비행단 군사경찰대대장 J 중령과 수사계장 I 준위를 뒤늦게 보직해임 하는 등으로 인해 부실 수사 의혹을 초래하였고…"<br /><br />그런데도 서욱 국방부 장관은 조사본부장을 '엄중 경고'한 데 그쳤고, 실무책임자인 수사단장은 사건에서 직무 배제하는 선에서 마무리해 제 식구 봐주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