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중, 美 겨냥 결속 과시…코로나 속 교류중단 한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961년 체결된 북중 우호조약은 지난 1981년과 2001년, 20년을 주기로 두 차례 자동 연장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북한과 중국이 '우호조약 60년'을 기념해 이처럼 밀착 행보를 가속하는 배경은 무엇인지, 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이 전해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로 60년을 맞이한 북중 우호조약은 1961년 7월 11일 체결해 그해 9월 10일 발표됐습니다.<br /><br />'상호 간 전쟁 자동개입'을 핵심 조항으로 하는 이 조약은 북한과 중국 간 '혈맹'의 상징이라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과 북한의 '우호협조·상호원조조약' 체결은 양국의 선대 지도자들이 미래를 내다보고 내린 전략적 결정이었습니다."<br /><br />북한과 중국이 우호조약 60년을 맞아 어느 때보다 밀착하는 배경에는 미중 갈등과 북미 협상 교착 상태의 장기화 속에서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0년에 맞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축전을 보내 북·중 친선을 새로운 전략적 높이로 발전시키자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중 갈등을 겨냥한 듯 거친 표현을 써가며 미국을 비난하는 한편, 중국과의 돈독한 관계를 강조하며 편을 들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역시 미국을 향해 지난 '수십 년 동안 북한에 가한 군사적 위협과 압력을 반성하라'며 북한을 감싸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동북아의 전략적 완충지대로서 가치가 커진 북한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한반도 문제는 중국의 문 앞에 있습니다. 중국은 언제나처럼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다만, 북한과 중국의 고민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실상 1년 넘게 왕래와 교역의 중단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월 내정된 북한 주재 중국대사의 부임조차 미뤄지는 상황에서 북한과 중국의 실질적인 협력과 교역이 단시간 안에 재개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