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마가 긴 소강상태에 든 가운데 장마가 이대로 끝나며 역대 최단 장마가 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무더위와 열대야는 점점 더 심해져 역대 급 폭염으로 강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김진두 기자! <br /> <br />먼저 장마 이야기를 해 보죠, 관측 사상 가장 짧은 장마가 될 수도 있다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여름 장마는 지난 3일 시작됐는데요, 늦장마이면서 전국 동시 장마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장마전선은 지난 11일 오전까지 제주도에 영향을 준 뒤 소강상태에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총 9일 동안 장마권에 든 셈인데요, 장마가 끝난 것인지 아닌지는 18일과 19일 내릴 비에 달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이 비가 저기압에 의한 것인지, 정체전선이 의한 것인지가 아직 불확실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만일 저기압에 의한 비라면 이미 장마는 끝난 것이고, 관측 사상 가장 짧은 장마 기록이 세워집니다. <br /> <br />정체전선이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해도 예년보다 일주일가량 짧은 장마가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서울에도 폭염경보가 내려졌던데, 올여름 무더위 강도가 심상치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상청은 18일과 19일 비가 내리고 나면 무더위 강도가 절정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층으로는 무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영향을 주고 상층으로는 뜨겁고 건조한 티베트 고기압이 확장하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열기가 돔에 갇힌 것처럼 계속 쌓이며 더 강해지는 '열돔' 현상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8년, 기상 관측 사상 가장 심했던 무더위에도 나타난 현상인데요, 기상청은 올여름 '열돔'현상으로 인한 더위 세기가 2018년에 육박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런 무더위, 열대야가 2018년처럼 한 달 넘게 이어질지는 예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YTN 김진두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1071314565470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