델타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서 급속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페루를 비롯한 남미지역에서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'람다 변이'가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람다 변이'가 치명적이라는 징후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, 백신 효과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일부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어 보건 전문가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형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남미의 페루에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해 8월 페루에서 처음 확인된 람다 변이가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부터 발생한 확진자의 80%가량이 람다 변이 감염자입니다. <br /> <br />[프란시스코 사가스티 / 페루 대통령 : 이미 2차 확산의 정점에 와 있습니다. 우리나라와 이 지역 다른 나라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은 정말 끔찍합니다.] <br /> <br />인접한 칠레도 신규 확진자의 1/3 이상이 람다 변이 감염자입니다, <br /> <br />인구의 58%가 백신 접종을 마쳤는데도 확진자가 줄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다니엘 로드리게스 / 칠레 산티아고 응급공공의료병원 의사 : 지금 병원의 70~80%가 코로나19 환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고, 나머지만 일반 환자입니다.] <br /> <br />이 때문에 람다 변이의 백신 회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칠레 의료진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람다 변이가 백신의 중화 반응을 3배가량 감소시켜 예방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남미 국가들이 중국산 백신을 주로 접종했기 때문에 예방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 WHO도 "아직 람다 변이가 더 치명적이라는 징후는 확인되지 않았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람다 변이를 '관심 변이'로 분류하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습니다, <br /> <br />영국 공중보건국 집계를 보면 람다 변이는 현재 남미를 중심으로 미국과 독일 등 29개국에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형근입니다.<br /><br />YTN 김형근 (hk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71320554530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