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.1% 높아진 9천160원으로 결정되자 경제계는 인건비 부담을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민주노총은 최저임금 만 원을 약속했던 문재인 정부가 결국 '희망 고문'을 한 것이라면서 총파업 투쟁까지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저임금위원회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5%대로 끌어올리자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사용자위원들은 충격에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의 장기화 속에 벼랑 끝에 몰려있는 소상공인과 영세 기업들의 현실을 외면한 결정이라고 한목소리로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4년간 최저임금은 연평균 7.7% 올랐는데, 그동안 경제성장률 2.7%, 물가상승률 1.1% 상승에 비춰보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대한상공회의소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한계상황에 처한 소상공인의 현실을 감안할 때 내년도 최저임금을 5.1% 인상해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차남수 /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 : 결국에는 그들이(소상공인들이) 폐업하거나 취약계층으로 빠져서 한국의 사회적 비용이 더 많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도래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민주노총은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최저임금 심의에서도 저임금 노동자들의 생활 안전망인 최저임금 만 원이 확보되지 않았다면서 총파업 투쟁까지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노총은 일반 노동자의 임금 인상률 예상치가 5.5%인데 이번 최저임금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해 결국엔 소득 격차가 더 벌어지게 됐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희은 / 민주노총 부위원장 : 그동안 저임금 노동자들에게 희망 고문을 해왔다고 생각하고, 저임금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여전히 외면당했다 이렇게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최저임금 표결에 끝까지 참여한 한국노총은 결과적으로 인상 수준이 최저임금 노동자의 삶을 개선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에도 노사 모두 최저임금 인상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져 이젠 제도적 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광엽입니다.<br /><br />YTN 이광엽 (kyup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71323120820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