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대통령 자문위원회가 글로벌 신기술을 주제로 마련한 공개행사에 미국 국무장관과 국방장관, 그리고 상무장관과 백악관 안보보좌관까지 총출동해 중국견제 메시지를 쏟아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핵심 부처 수장들이 한 행사에 줄지어 나오는 건 흔치 않은 일입니다. <br /> 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대통령과 의회 자문을 위해 2018년 설립된 '인공지능 국가안보위원회'가 현지시각 13일 개최한 '글로벌 신기술 고위급회의'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연사로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블링컨 장관은 "중국은 세계의 기술 리더가 되려고 단단히 결심했고 그런 야망을 성취하기 위한 포괄적 계획과 자원을 갖추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토니 블링컨 / 미국 국무장관 : 기술권위주의의 무서움을 부각해 중국 러시아 같은 나라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지적하고 그것이 잘못되고 위험하다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.] <br /> <br />블링컨 장관은 중국 같은 나라들은 민간용과 군용을 구분하지 않는다면서 이러한 오용에 맞서 미국의 산업과 혁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고의 방식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블링컨 장관은 미국 혼자서는 어렵고 파트너가 필요하다면서 한국과 일본, 쿼드 4개국, 주요 7개국 등과의 협력 사례를 거론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도 중국이 2030년까지 인공지능에 있어 국제적으로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스틴 장관은 중국은 이미 감시와 사이버 공격, 자율무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을 거론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로이드 오스틴 / 미국 국방장관 :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국은 미국을 추격하는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. 우리는 이기기 위해 경쟁할 것이고 올바른 방식으로 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연설에서 기술 동맹을 구축하기 위한 조 바이든 행정부의 노력을 소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설리번 보좌관은 미국은 한국, 일본과 반도체에서 유전체학, 양자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신기술에 관한 새로운 양자 협력 파트너십을 출범했다며 우리나라를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도 연사로 등장했으며 우리나라의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사전녹화된 연설로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인공지능 국가안보위원회는 2018년 국방수권법에 따라 설치된 위원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원배 (wb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71501164388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