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럽연합, EU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의 판매를 금지하고 탄소 국경세를 도입하는 내용의 초강력 탄소배출 감축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철강과 자동차 등 우리나라 수출 품목도 영향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박경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럽연합, EU 집행위원회가 지역 내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오는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55% 줄이는 내용의 정책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우선 탄소국경세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으로 수입하는 제품과 서비스 가운데 유럽에서 생산한 것보다 탄소배출량이 많은 제품에 대해서는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탄소 배출량이 많은 철강과 시멘트, 알루미늄 제품 등에 우선 적용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차량 탄소 배출 기준도 강화해 오는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고 전기차량만 팔 수 있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장과 발전소, 항공사 등은 온실가스 배출에 더 많은 비용을 내야 하고, 선박도 탄소배출거래제 대상에 넣었습니다. <br /> <br />[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/ EU 집행위원장 : 유럽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포괄적인 구조를 제시한 첫 번째 대륙입니다. 이제 그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을 제시합니다.] <br /> <br />이 같은 강력한 탄소 규제 정책을 통해 2050년이 되면 탄소배출량이 '제로'인 탄소 중립 사회를 구축하겠다는 게 유럽연합의 목표입니다 <br /> <br />[프란스 팀머만 / EU 집행위 부위원장 :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55% 줄이고, 2050년에 탄소 중립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인류는 싸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유럽연합의 탄소 규제가 본격화되면 철강과 자동차 등 탄소배출량이 많은 우리 수출 분야 전반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급격한 탄소 감축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둘러싸고 유럽 각 나라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, 최종 합의까지는 험난한 과정이 남아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YTN 박경석입니다.<br /><br />YTN 박경석 (ks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71505545607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