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하루 확진자는 연일 천 명을 넘고 있죠.<br> <br>천 명을 넘으면 전국적으로 거리두기 3단계를 적용하는 게 원칙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지자체마다 거리두기 단계가 제각각이라 시민들도 혼란스럽고, 풍선효과도 우려되죠. <br> <br>방역당국은 일괄적 격상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는데요.<br> <br>강원도 안에서도 강릉만 3단계입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가 이어갑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경남 김해시 유흥주점 거리. <br> <br>집합금지 명령을 받은 업소가 여럿입니다. <br> <br>유흥주점발 확진자가 속출하자 김해시는 내일부터 2주간 거리두기를 3단계로 올리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경상남도는 2단계인 상황에서 내린 결정입니다. <br><br>수도권은 이미 4단계지만, 비수도권 광역시도는 1, 2단계가 뒤섞여있습니다. <br><br>단계별로 사적모임 인원 제한이 2명에서 8명까지 각각 다르기 때문에, 낮은 단계 지역에서의 풍선효과도 우려됩니다.<br> <br>[김규섭 / 경남 김해시] <br>"여기는 통제를 많이 하는데 창원이나 마산에 통제를 안 한다고 하면 그쪽으로 놀러 가는 분위기가 안 되겠습니까." <br> <br>도 단위와 시 단위의 거리두기가 다른 지역도 많습니다. <br><br>앞서 3단계였던 춘천시가 강원도의 2단계 격상 시점에 2단계로 거리두기를 완화했는데, 강릉시는 오늘 2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을 결정했습니다. <br><br>전국에 3단계 일괄적용 기준인 사흘 연속 평균 확진자 천 명 이상 조건은 이미 충족한 상황. <br><br>방역당국은 "감염확산 정도가 다른데 같은 수준의 방역조치를 하는 건 형평성이 떨어진다"며 신중한 반응입니다. <br><br>일부 전문가들의 생각은 다릅니다. <br> <br>[천은미 /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] <br>"지금 확진자가 많지 않다고 해서 각각 단계를 다르게 하면 그것(풍선효과)은 여행지 중심으로 더 많이 확산 될 것(입니다.)" <br> <br>방역 효과와 경제에 미칠 영향 사이에서 방역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ica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건영 김덕룡 김한익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