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공무원과 공공기관 직원들의 아파트 특별공급을 이용한, 이른바 특공테크 논란이 됐죠. <br> <br>부동산 관련 공공기관들은 어땠을까요. <br> <br>채널A가 지방으로 이전한 부동산 관련 공공기관 10곳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, 특공을 받고 입주도 하지 않은 직원이 대부분인 곳도 곳도 있었고, 아파트만 받고 퇴직한 경우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016년 진주혁신도시로 이전한 주택관리공단 직원 90명은 특별공급 제도를 통해 아파트를 분양받았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분양받은 아파트에 입주한 직원은 8명으로 입주율이 9%에 불과했습니다. <br><br>하루도 살지 않고 아파트를 판 사람은 57명에 달했습니다. <br> <br>이 가운데 19명은 취득세 감면 혜택까지 받았습니다.<br><br>공단 직원 A씨의 경우 2016년 3억 1천460만 원에 아파트를 분양받고 하루도 살지 않고 처분했는데, 이 아파트는 지난달에 7억 2천만 원에 거래될 정도로 시세가 뛰었습니다.<br> <br>[진주혁신도시 공인중개업소 관계자] <br>"최초 분양가부터 3억 원 이상 올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두 배 정도 올랐다고 생각하시면 되고요." <br><br>주택관리공단 관계자는 "전국을 순환하며 근무하기 때문에 입주율이 낮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<br>2014년 부산으로 이전한 주택금융공사에서는 140명이 특별공급을 받고도 3분의 1가량은 서울 등으로 근무지를 옮겼습니다.<br> <br>2017년 세종시로 옮겨 간 국토연구원 직원 226명 가운데 23명은 특별공급으로 분양을 받은 지 2년도 안 돼 퇴직한 것으로도 드러났습니다.<br> <br>근속 연수나 의무 근무 기간 등 관련 규정이 없다 보니 특공 아파트만 받고 퇴직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권영세 국민의힘 의원은 "특공 제도를 악용한 사례들을 전수조사해 책임을 묻고 해당 지역 근무 기간 등 제도적 허점을 보완해야 한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