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Q. 네. 여야 모두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인물이죠. 하지만 아직은 베일에 싸여있는 대선주자,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A. 네, 안녕하세요. <br> <br>Q. 제가 사실 대선주자라고 표현은 했지만 아직까지 대선에 출마한다, 안 한다 명확하게 말씀하시진 않으셨어요. <br> <br>A. 그렇습니다. <br> <br>Q.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봐야죠. 출마하십니까, 안 하십니까. 이번 대선에. <br> <br>A. 제가 지금 공직을 34년했고, 대학교 총장도 2년 반 했고, 우리 사회로부터 많은 빚을 지고 있습니다. 부총리 그만두고 다니면서 많은 분들 만나뵀고, 사회현장 그런 속에서 대한민국이 이대로 가선 안 되겠다는 생각을 강하게 했고요. <br> <br>또 진짜 문제가 무엇이고 해결책은 무엇이고 실천은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했기 때문에 그동안 공직생활을 하면서 받은 여러가지 혜택, 사회로부터 받은 혜택을 되갚을 수 있는 방법으로 어떤 일도 마다하지 않고 하려고 생각하고 있고 깊이 고민 중이라는 말씀을 드립니다. <br> <br>Q. 출마로 저희는 받아들여도 될 것 같은데, 그렇다면 따라오는 질문이 있습니다. 여권 후보로 봐야할지 야권 후보로 봐야할지. 어떻게 저희가 생각하면 될까요? <br> <br>A. 소위 말하는 정권 재창출이나 정권교체를 통해서 우리 사회와 경제 구조의 문제가 해결될 것을 기대하기 어려울 거 같습니다. 한쪽에서는 묻지마 정권교체를 이야기하고 있고, 한 쪽에서는 또 정권 재창출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지난 20년간 이어온 사회와 경제의 문제들이 지금의 대립과 갈등과 진영논리에서 비롯되는 정치일정의 결과로 해결될 것 같지 않기 때문에 저는 지금의 구도를 깨는, 정치판을 바꾸는 변화가 있어야 변화가 생길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여와 야, 소위 보수와 진보로 재단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 그걸 뛰어넘어야 하지요. <br> <br>Q. 민주당이나 국민의힘으로는 입당은 안 한다고 보면 됩니까. <br> <br>A. 말씀드린 것처럼 지금 구도로는 우리 사회와 경제의 의미있는 변화를 만들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. 기존의 모든 정치권들은 기득권이겠지요. 그와 같은 기득권의 위치나 또는 권력투쟁, 어떻게 보면 양쪽이 다 공생적인 경쟁관계인 것이지요. <br> <br>Q. 정치세력의 변화를 말씀하셨는데 방식이 4가지가 있어 보입니다. 민주당, 국민의힘, 혹은 무소속, 신당창당. 이 네 가지 결정하지 않으신 것입니까. 조금 더 보고 나중에 결정하시는 겁니까. <br> <br>A. 저는 어떤 세 유불리나 이런 현실적 문제로 고민하는 것 같진 않습니다. 지금 보시죠. 많은 정치주자들이 나오고 있는데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분이 안 계세요. 경제에 대해서도 이야기 안 합니다. 글로벌은 더 이야기를 안 합니다. 나오는 이야기들은 주로 과거에 대한 이야기, 또는 같은 편 내에서도 상대편에 대한 네거티브가 주를 이루고 있고요. 정치 이쪽에서는 대한민국이 어디로 가야할 지, 우리가 미래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장이 되어야 하는데 그런 아젠다가 전혀 나오지 않고 있어요. <br><br>Q. 재난지원금을 두고 민주당에서는 '다 주자 전국민' 그렇게 얘기를 하고 있고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'피해를 본 쪽에 두텁게 줘야 된다' 이런 문제로 서로 맞서고 있습니다 당과 정이. 어느 쪽 말이 맞다고 보십니까. <br> <br>A. 재난 지원금은 실제로 수요가 있고 피해를 본 분들에게 두텁고 촘촘하게 주는 것이 맞습니다. <br> <br>Q. 그럼 홍 부총리의 생각이 맞다. <br> <br>A. 다 주자고 하는 분들은 소비 진작과, 경기 진작에 크다고 말들 하시는데 저는 그 여건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. 지금의 상황에서 소비와 경기 진작은 사실 가장 중요한 게 코로나 극복 문제입니다. 그렇지 않으면 그와 같은 재난지원금으로 소비가 진작되거나 하는 것을 크게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거기에 크게 동의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Q. 이번 재난지원금 이슈 때 이렇게 주장을 하면 이재명 경기지사 같은 경우에는 대한민국이 기재부의 정부, 기재부의 나라냐라고 비판도 많이 해왔습니다. 관료적 발상이다 이런 지적이었는데 그 비판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. <br> <br>A. 대한민국은 기재부의 나라도 아니고요. 정치인의 나라도 아니지요. 국민의 나라일 뿐이지요. 정치인들이 자기하고 의견이 안 맞다고 그런 식으로 얘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. 그런 얘길 하면 일부 지지층에서는 사이다 발언이라고 하겠지만 국가 전체로는 별로 생산적인 얘기가 아니라고 생각하고요 <br> <br>Q. 문재인 정부, 여당과 다른 생각들을 밝혔는데, 윤석열 전 검찰총장, 최재형 전 감사원장 등 문재인 정부 때 고위공직자들이 여당으로 안가고, 야당이나 밖에서 대선 출마하는. 김동연 부총리께서도 어쨌든 여당으로는 안 가셨고요. 이게 문재인 정부 인사들이 여당으로 안 가고 출마하는 모습은 어떻게 보십니까. <br> <br>A. 윤 전 총장이나 최 전 원장 같은 경우는 글쎄요. 헌법기관장을 하시고 권력기관을 하신 분들이 임기를 채우지 않고 정치를 한다는 것에 대해서 국민들이 어떻게 볼지에 대해서 생각을 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. 또 그런 분들은 감사나 또는 수사 같은 것을 통해서 과거를 재단하는 일을 하셨던 분들입니다. 정치는 미래에 대한 일이고, 갈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건데, 그게 잘 맞는 건지는 잘 모르겠고요. 무엇보다도 어떤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한 어떤 비전과 어떤 내용의 콘텐츠를 갖고 계신지 궁금합니다. <br> <br>Q. 알겠습니다. 어젠다 얘기 많이 하셨는데 마지막으로 그러면 김동연이 만들고 싶은 대한민국을 시청자분들에게 짧게 좀 얘기를 해보시지요. <br> <br>A.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많은 분들이 미래에 대해서 막막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. 그런 막막한 미래로부터 눌림을 받고, 억눌림을 받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. 그래서 우리 다음 청년들이 금수저, 흙수저 이와 같은 말들을 더 이상 듣지 않는 기회가 많고 고른 기회가 주어지는 그런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