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귀국한 청해부대 34진, 우려했던 대로 감염자 수가 더 늘었습니다. <br> <br>270명, 전체 승조원의 90%가 확진자가 됐습니다. <br> <br>장병들의 가족에게 들은 부대의 초기 대응은 황당합니다. <br> <br>부대장은 상부에 아프리카가 우기라 감기 증상자가 많다는 보고를 했습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<br>귀국한 청해부대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두 270명입니다. <br><br>현지 PCR 검사 때보다 23명 늘어 감염률은 90%에 육박합니다. <br><br>확진자들은 병원과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기일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] <br>"병원에 입원한 환자 14명 중 12명은 의료적 치료가 필요한 경증 환자이며, 2명은 산소마스크가 필요한 중등도 환자입니다." <br> <br>귀국한 장병들과 통화를 한 가족들은 이제야 마음이 놓인다면서도 함정 내 초동 대처에 대해선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[청해부대원 가족] <br>"죽을 뻔 했대요. (열은) 거의 일주일 동안 계속 39도지, 약 먹으면 조금 떨어졌다가 다음 날 되면 오르고. '코로나19 아니야?' 이랬대요, 자기들끼리." <br><br>최초 증상자 발생 이후 합참 보고까지는 8일이나 걸렸습니다. <br><br>이미 100명 가까이 비슷한 증상을 호소한 뒤였습니다. <br><br>당시 청해부대장은 "아프리카가 우기여서 감기 증상자가 많다"고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해외 파명부대에 왜 백신을 준비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에 군은 부작용 우려 때문이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[박재민 / 국방부 차관(CBS 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 <br>"우리 한국군 장병도 49만 명에 달하는 우리 장병들을 계속 맞히고 있습니다. 맞히고 있는데 여기도 이상반응 숫자가 400건 이상 나오고 있고요." <br><br>지난 6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공여한 100만 회 분 얀센 백신에 대해서는 30세 미만은 혈전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청해부대원에 줄 수 없었고, 대신 예비군과 민방위 대원, 국방 외교 관련자 등에게 접종했습니다.<br> <br>방역 당국은 얀센 백신의 예방률이 92.8%였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청해부대원이 백신만 맞았어도 최악의 감염사태는 막을 수 있었다는 얘깁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 <br>grace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