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-푸드 대표선수 격인 한국 김치의 세계화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는 '국가명 지리적 표시제' 도입을 추진 중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김치 재료에 수입 농산물을 일부 허용하는 문제를 놓고 수년 째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쿄 올림픽 태극전사의 이른바 밥심 지원팀 <br /> <br />매일 김치와 고추장 등 한국인 특유의 매운 정신을 되새기게 하는 음식을 빠지지 않고 도시락에 넣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-푸드 대표선수 격인 김치. <br /> <br />일본에 한국 김치를 수출하는 기업들은 이를 선수단에 무료 제공 중입니다. <br /> <br />김치 수출액은 지난해 1억4천만 달러가량으로 1년 전보다 37.6% 급증했고, 올해 1분기도 4천660만 달러로 역대 최고치입니다. <br /> <br />값싼 중국산 김치는 김치 종주국 한국은 물론 세계 시장을 공략 중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월 중국산 알몸 절임배추 파문이 발생했지만 우리의 중국산 김치 수입량은 중국산을 당장 먹지 않을 것 같은 강한 거부감 그대로 비례해 줄지는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한국 김치의 종주국 위상 정립을 위해 국가명 지리적 표시제 보호대상 등록을 추진 중입니다. <br /> <br />수년째 인증 기준 마련 논쟁이 진행 중인데 핵심은 김치 재료 20여 가지 중 일부를 수입산으로 써도 되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비용 문제 때문에 수출용 김치의 절반 이상은 중국산 고춧가루를 사용 중입니다. <br /> <br />[이인우 /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주무관 : (중국산) 건고추를 고춧가루로 가공해 버리면 고춧가루 상태에서는 육안감정이 거의 구분이 불가능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현재 국산재료로 만든 것만 한국 김치로 인증해야 된다는 원칙론과 수출 경쟁력을 감안해 한국식 제조 방식을 인증해야 한다는 방식론이 맞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제도가 도입되면 우리나라와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지역에서는 '한국김치' 이름은 인증 제품만 사용할 수 있는데, 연내 결론을 낸다는 방침입니다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72403154975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