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규 환자는 1,674명, 3주 넘게 천 명대 확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꺾이지 않는 확산세에 방역 강화 주문이 잇따르자, 정부는 비합리적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추이를 좀 더 지켜본 뒤 판단해야 한다는 건데, 전문가들은 선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천 명대 확진 규모는 3주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루 전보다 환자가 줄었지만, 확산세가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[박영준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 : 델타 변이라는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서 강한 변이 바이러스가 우세 변이종으로 되어 있어서…. 감염의 위험성이 기존보다 더 높아졌다는….]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 방역 고삐를 더 조여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[정기석 /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: 수도권은 (밤) 12시부터 (새벽) 4시까지 통행금지, 12시 통금을 하면 (밤 10시 이후 영업 금지하는 4단계처럼) 모든 경제활동은 다 하는데 숨어서 술 먹고 숨어서 만나는 사람들만 억제하겠다는….] <br /> <br />[천은미 /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: 정부가 말하는 3단계는 과거의 3단계가 아닌, 그때의 1단계 정도밖에 안 된다고 생각하거든요. 비수도권은 확산하는 상태고 (단계 격상을) 기다리는 동안 확산하는 거는 그다음에는 감염자가 더 많기 때문에 더 길어지겠죠.] <br /> <br />추가 방역 강화 주문에 정부는 비합리적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비수도권은 이번 주에 3단계로 올린 만큼 다음 주까지 상황을 지켜봐야 하고, 추가 조치로 인한 서민 부담도 고려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선제 대응으로 유행을 줄이는 게 오히려 사회·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재훈 /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: 빠르게 유행에 대한 조치하는 게 장기적으로는 사회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라고 믿어요. 소상공인 피해 보상이 안 되는 것이 오히려 단계를 높이거나 유행을 통제하는 데 장애 요인이 되고 있거든요.] <br /> <br />물론 4차 유행을 통제할 근본적인 대책은 백신 접종률을 끌어올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접종이 더딘 상황에 방역 강화로 시간을 끄는 것 외에는 의료 체계 부담을 줄일 방법이 없다는 게 전문가들 진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72921471274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