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대출 조인다’ 엄포에 2030, 7억 이하 아파트 ‘영끌’

2021-07-31 94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급기야 정부가 ‘내 집 마련을 말리는’ 형국에 왔습니다.<br> <br>집값이 오를 대로 올랐으니, 곧 떨어진다는 논리죠.<br> <br>하지만 양치기 소년이 거짓말을 반복하면 진짜 늑대가 나타나도 사람들은 믿지 않습니다.<br> <br>홍남기 부총리의 경고가 현실이 된다쳐도 시장엔 통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.<br><br>반전 대책은 없고 엄포만 있는 대국민 담화<br><br>대국민 ‘담와’라는 패러디마저 돌고 있습니다.<br> <br>현장은 어떨까요? 대출 막힐 거란 조바심에 젊은이들은 또 막차를 타고 있었습니다.<br> <br>박정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정부는 집값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며 대출도 지금보다 더 옥죄겠다고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[은성수/ 금융위원장 (지난 28일)] <br>"(가계대출 증가율) 연간 5~6%가 되려면 하반기에는 결국은 한 3~4%대로 관리가 돼야…하반기는 더 엄격하게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…" <br> <br>하지만 경고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정부 대책이나 담화가 나올 때마다 매번 집값이 올랐다며 냉소적인 반응을 보입니다. <br> <br>오히려 자금력이 부족한 신혼부부와 2030 젊은층에선 지금 아니면 평생 집을 못 살 것이라며 대출 규제가 추가되기 전 영끌을 해서라도 집을 사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합니다. <br><br>실제로 서울 구로구의 전용면적 85㎡ 아파트는 한 달 사이 3500만 원가량 올라 8억 원에 안팎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 <br><br>[서울 구로구 A 공인중개사] <br>"(젊은 분들) 많이 와요. 오류동이 제일 싸잖아요. 여러 군데서 집들 막 (가격이) 올라가니까 이 집 하나밖에 안 남았거든요. 전세를 끌어안고 일단 사 놔야죠." <br><br>현재 7억 원 이하 아파트는 무주택자의 경우 최대 4억까지 담보 대출이 가능한 만큼 2030에겐 대출 막차를 노린 내 집 마련 주요 타깃이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이마저도 수요가 몰리면서 하루가 다르게 호가는 치솟고 있는 상황. <br> <br>[서울 구로구 B 공인중개사] <br>"7억 대는 없죠. 입주할 수 있는 건. 조금 일찍 하셨어야 하는데. 요즘에 (가격) 조정하는 게 쉽지가 않더라고요. 어제도 하나 했는데 깎아달라니까 (집주인이)올린다 그래서 그냥 그 가격에 했어요." <br><br>작용과 반작용. <br> <br>정부가 옥죌수록 시장은 반대로 튀어 오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권재우 <br>영상편집: 손진석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