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수도권은 부산과 경남, 대전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백 명을 넘었던 비수도권 확진자 수는 이틀째 4백 명대로 떨어졌지만 여름 휴가철 이동이 많은 만큼 불안감은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허성준 기자! <br /> <br />비수도권 코로나19 상황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비수도권의 코로나19 상황은 지난주보다 비교적 확산세가 주춤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오늘 0시 기준 비수도권 확진자는 401명으로 전날에 이어 이틀째 4백명 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달 18일 30%대로 올라선 이후 17일째 30%를 웃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집단감염이 이어졌던 강원과 제주의 국내 발생자 수가 각각 24명과 12명으로 크게 줄었고, 대구와 광주는 26명과 16명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휴일의 영향으로 검사 건수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또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사람들의 이동이 많은 만큼 언제, 어디서 집단감염이 터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부산과 경남, 대전 등지에서는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의 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국내 발생자 수는 68명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은행 신평동 지점에서 직원 1명이 확진된 이후 동료 직원들이 잇따라 감염되고 있고요. <br /> <br />해운대구의 카페에서도 확진자가 다녀간 뒤 손님과 운영자로 감염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경남에서는 모두 77명이 국내에서 감염됐는데요. <br /> <br />창원과 김해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경남에서는 집단감염 없이 확진자의 가족이나 지인, 접촉자 사이에서 감염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상 곳곳에 바이러스가 퍼진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김해와 함양에 이어 함안군까지 거리 두기를 4단계로 올렸지만, 뚜렷한 감염원이 없는 만큼 바이러스를 차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전에서는 62명이 추가로 확진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교도관 한 명이 양성 판정을 받으면서 밀접 접촉한 수감자 100여 명을 비롯해 동료 교도관 등 모두 780여 명이 검사를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타이어 금산공장과 관련해서도 격리 중이던 2명이 추가로 양성판정을 받아 누적 확진자가 60명입니다. <br /> <br />대전은 지난달 27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격상했지만,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70명을 웃도는 등 확산세가 이어지고... (중략)<br /><br />YTN 허성준 (hsjk2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80210565527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