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밥상 물가를 압박하는 주요 품목은 바로 주식 쌀입니다. <br> <br>급등세를 낮추기 위해 정부가 비축해 놓은 정부미를 풀고는 있는데요<br> <br>이미 올해 들어 4번이나 풀어서, 나라 곳간이 바닥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창고에 쌀이 남아돈다는 뉴스도 있었는데, 대체 어찌된 일인지, 박지혜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저녁 밥상을 준비하러 나온 손님들. <br> <br>쌀 가판대는 그냥 지나칩니다. <br> <br>무섭게 오른 쌀값 때문입니다. <br> <br>[50대 주부 / 서울 영등포구] <br>"(한 포대에) 5천 원 정도 더 오른 것 같아요. 어, 왜 쌀 가격이 갑자기 올랐지? 그런 생각이 들었고." <br><br>[30대 주부 / 세종 보람동] <br>"(코로나19 때문에) 식구들이 집에 있다 보니까 식사량도 많아지고, 쌀을 정기적으로 구입하고 있는데 살 때마다 가격이 올랐다는 게 느껴져요." <br><br>실제로 오늘 기준 쌀 20㎏ 도매가격은 5만9260원으로 1년 전보다 1만 원 넘게 비쌉니다.<br> <br>이처럼 쌀값이 20% 넘게 뛴 건 재배면적이 줄어든데다 장마와 태풍까지 겹쳐 지난해 생산량이 52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이억원 / 기획재정부 1차관(지난달)] <br>"기상 이변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한편, 정부가 비축한 물량을 선제 확보 및 적기 방출(하겠습니다)."<br> <br>정부는 오늘도 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해둔 쌀 8만톤을 시장에 풀었습니다. <br><br>정부미 방출 결정만 올들어 벌써 다섯 번째. <br> <br>이렇게 풀린 물량만 37만 톤에 달합니다. <br> <br>현재 남아 있는 14만 톤은 연말까지 군에 공급할 급식용인 만큼 사실상 창고 바닥까지 싹싹 긁어 푼 셈입니다.<br> <br>얼마 전까지 쌀이 남아 돈다며 대북 식량 지원까지 얘기했지만 이제는 우리 먹을 걸 걱정해야 될 처지가 됐습니다. <br> <br>올해도 작황이 나쁘면 쌀값은 더 오르고 군인들은 수입쌀을 먹을 수 있단 우려까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유하영 <br>영상제공 : 농림축산식품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