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번 달 예정된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요구했죠. <br> <br>그대로 할지, 미룰지, 축소할지 여권이 갈팡질팡하는 모습인데요. <br> <br>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“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”며 연기나 축소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.<br><br>국민의힘은 “국정원이 김여정 하명기관“이냐며 즉각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남북관계 현안을 보고하기 위해 국회를 찾은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이번달로 예정된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[김병기 /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] <br>"북한 비핵화의 큰 그림을 위해서는 한미연합훈련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." <br><br>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지난 1일,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촉구한 배경을 설명하던 중 나온 발언입니다. <br> <br>야당은 박 원장이 사실상 훈련 연기 입장을 밝힌 거라며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[하태경 /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] <br>"북한의 비위 맞추기 경쟁하는가. 굉장히 실망했습니다. 국정원이 사실상 김여정의 하명 기관으로 전락했다." <br><br>하태경 의원은 "국정원은 정보 부서이지 정책 부서가 아니다"라며 국정원의 입장 철회와 대국민 사과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여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"국정원 공식 입장이 아닌 박 원장 입장"이라고 진화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국정원은 북한이 북미회담 전제조건으로 광물 수출, 정제유와 생필품 수입 허용 등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2019년 하노이 회담 때 제안한 조건으로 현재도 같은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생필품에는 고급 양주와 양복도 포함되는데 김정은 위원장과 상류층에 배급할 용도라는 게 국정원 설명입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이 뒷머리에 파스를 붙이고 나타나 건강 이상설이 제기된 것에 대해서는 가벼운 걸음걸이와 허리를 깊이 숙여 인사하는 자세를 근거로 "이상 징후는 없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 <br>sunggyu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한규성 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