에너지 전담 차관 둔다…자원·기후변화 주도권 포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럽과 미국의 탄소국경세 도입 추진이 우리 산업계에는 갈수록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정부가 에너지 전담 조직을 차관급으로 올려 대응에 나섭니다.<br /><br />에너지와 기후변화 분야를 둘러싼 글로벌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석유자원 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동력자원부.<br /><br />1990년대에는 상공부와 통합되면서 장관 자리는 차관으로 바꿨고, 이후 산업부 내에 2차관이 유지되면서 에너지와 자원, 무역 등을 담당했지만 현 정부 초반 사라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2050 탄소중립이 발등에 불이 되면서 정부는 에너지 분야 전담 차관을 새로 두고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신재생에너지와 수소경제 등 2개 관과 4개 과가 만들어지면서 27명이 보강됐습니다.<br /><br />원전 주변지역과의 상생협력 위해 원전지역협력과도 새로 출범했습니다.<br /><br />원전 없이는 탄소중립 실현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인데, 원전 건설 중단으로 갈등을 빚고 있는 영덕과 울진지역 주민과의 소통에도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신재생과 수소, 원전 등 세개 축으로 한 콘트롤타워를 만들어 갈수록 격화되는 에너지와 기후대응에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대선 이후 새 정부에서 부처 승격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탄소중립이라는 것이 단순히 에너지에 그치지 않고, 우리 산업·경제 전반에 영향을 주거든요. 에너지와 기후 환경을 묶어서 종합적 부처를 만들어보는 것도…"<br /><br />유럽과 미국에서 당장 탄소국경세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국내 배출 온실가스의 87%가 에너지 소비 과정에서 나옵니다.<br /><br />결국 에너지 분야의 시스템 혁신을 얼마나 앞당길 지가 에너지 전담 차관의 최대 과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