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시름 던 삼성…기술격차 축소·투자 결정 '바쁜 길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만 TSMC와 미국 인텔 같은 글로벌 반도체 거인들이 대규모 투자계획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삼성이 궁지에 물렸다는 평가가 많죠.<br /><br />오는 13일 이재용 부회장이 가석방으로 복귀하면 삼성은 당장 미국 생산부지 결정과 2나노 미세공정 투자 같은 대형 사안들의 해결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30년까지 170조 원을 투입해 주문형 반도체, 파운드리 세계 1위에 오르겠다고 선언한 삼성전자.<br /><br />하지만 연초 이재용 부회장 수감 뒤 '반도체 국가 대항전'이 벌어지며 기존계획 유지는 어려워졌습니다.<br /><br />주문형 반도체 세계 1위 TSMC는 3년간 114조 원을 투자해 미국에만 공장 6곳을 짓겠다고 했고, 인텔은 이 분야 세계 3위 글로벌파운드리 인수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기술격차도 벌어져 삼성은 5나노 공정이 중심인데, TSMC는 초미세 공정인 3나노 제품 테스트에 들어갔고 인텔은 2나노 기술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부회장이 가석방되면 김기남 부회장 방미 이후 두 달 이상 미뤄진 미국 파운드리 공장 부지 선정에 나서야 합니다.<br /><br />인수·합병이든, 자체 개발이든 상용화가 빨라지는 자율주행차용 칩 개발도 속도를 내야 할 부분입니다.<br /><br />경쟁사와의 기술 격차 축소도 발등의 불입니다.<br /><br /> "특히 2나노 공정에서 TSMC가 선제적인 투자를 했기 때문에 삼성도 빠른 투자를 위한 결정이 필요하고, 심화하는 미중 갈등 속에서 밸런스를 맞추는 외교적 역할을 하는 노력이 시급하다."<br /><br />이 밖에도 삼성SDI의 미국 현지 전기차 배터리 생산라인 구축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코로나19 백신 위탁 생산도 신속히 추진해야 할 과제로 꼽힙니다.<br /><br />다만, 가석방으로 복귀하더라도 이 부회장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관련 재판도 진행 중이라 국내외를 자유롭게 오가는 경영활동은 제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