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연합훈련이 오늘부터 사전연습을 시작으로 후반기 연합훈련 일정에 돌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 이어 중국도 훈련 중단을 요구했지만 한미 군 당국은 코로나19 등을 이유로 훈련 참가병력만 축소하고 일정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늘부터 시작된 위기관리 참모훈련은 한미연합훈련의 사전연습입니다. <br /> <br />합동참모본부 주관으로 진행되는데, 나흘간 전쟁 발발 전 위기 상황을 가정하고 이를 점검합니다. <br /> <br />이 훈련이 끝나면 오는 16일부터 열흘간 본훈련이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 전쟁 발발 상황을 가정해 1부 방어와 2부 반격의 형태로 진행됩니다. <br /> <br />실기동 훈련이 아닌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지휘소 훈련으로, 방어와 반격 훈련이 일부 조정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지만, 일정은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병력을 증원하지 않고 사단급 이하 참가 인원도 대폭 축소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본 훈련은 전시작전통제권을 가진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이 주관하며, 김승겸 부사령관도 전작권 전환을 위한 2단계 검증 예행연습을 위해 이틀간 지휘봉을 잡을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훈련은 일정대로 진행되지만, 참가 부대가 축소되면서 실전훈련은 물론 전작권 전환 일정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신종우 / 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: 증원 전력이 없어 실전적인 훈련에 한계가 있을 수 있고요, 전작권 전환을 위한 검증이 아닌 예행연습 수준이기 때문에 현 정부 임기 내 전작권 전환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한미 군 당국은 본훈련 시작 직전에 시기와 규모 등을 발표하고 관례에 따라 북측에 훈련 일정 등을 통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지난 1일 김여정 부부장의 명의로 훈련 중단을 요구한 이후 수해복구 소식만 전할 뿐 별도의 언급은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번 연합훈련에 대해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향후 남북관계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문경입니다.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81006232283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