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부대원의 90%가 코로나19에 확진된 청해부대 집단감염은 기니만 해역 인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질병관리청과 군 역학조사단, 의료계 등으로 구성된 민관군 합동조사단은 이 같은 내용의 청해부대 34진의 집단감염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초 감염은 6월 28일부터 7월 1일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은 "해당 부대는 해외 파병 전 2주간의 검역 과정을 완료했고, 바이러스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시점은 항구 정박 때 외에는 없었던 것으로 판단했다"면서 "청해부대 34진은 평소 임무지역이던 A지역에서 D지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D지역 등에 정박한 것으로 확인됐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은 이어 "D지역 정박 이후 유증상자 급증, 정박 당시 외부인 또는 물품과 접촉한 일부 부대원 중 평균 잠복기 내 증상 발생, 전장유전체 분석 결과 D지역에서 보고된 바이러스와 동일 계통의 바이러스 확인 등이 D지역에서의 감염 가능성을 지지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D지역은 기니만 해역에 인접한 국가로, 청해부대 34진은 이곳에서 군수물자를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은 부대원 중 환자가 다수 발생한 원인에 대해서는 함정 내 3밀 환경과 24시간 지속적인 공동생활, 전파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델타형 변이의 유행, 일반감기 및 장기간 항해로 인한 피로 등과 구분이 어려운 코로나19의 임상증상으로 인한 환자발생 인지 지연 등을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아프리카 아덴만 해역에 파병됐던 청해부대는 전체 부대원 301명 가운데 90.4%인 272명이 확진됐습니다. <br /> <br />부대원들은 지난달 20일 군 수송기를 타고 조기 귀국한 뒤 군 병원과 민간 병원, 생활치료센터 등으로 나눠 치료받았으며 현재는 전원 퇴원 또는 퇴소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확진자 가운데 64명을 대상으로 변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분석한 결과, 전파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인도 유래 '델타형' 변이가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나머지 확진자들도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만큼 델타형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우 (dw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81014540117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