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부터 예정대로 한미 연합 사전훈련이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4년 전 연합훈련 때의 12분의 1밖에 안되는 최소 규모의 인원이 참가하고, 예년처럼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으로만 진행됩니다. <br> <br>이렇게 '무늬만 훈련이다' '정부가 김여정의 하명을 받는다'는 비판까지 들으며 훈련 규모를 크게 축소했는데, 남북 <br>긴장감은 오히려 고조됐습니다. <br> <br>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남한과 미국에 배신자, 위선자라는 비난을 보내며 주한미군 철수까지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13개월만에 복구됐던 남북 간 연락망도 불통입니다. <br> <br>먼저 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한미연합훈련 중단 여부를 예의주시하겠다던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9일 만에 또 담화를 냈습니다. <br> <br> 사전훈련이 시작되는 오늘 내놓은 담화문 끝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뜻임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“이 기회에 남조선당국자들의 배신적인 처사에 강한 유감을 표한다. 나는 위임에 따라 이 글을 발표한다.” <br><br> 김 부부장은 미국을 향해선 "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파괴하는 장본인"이라며 "외교적 관여와 전제 조건 없는 대화란 침략적 본심을 가리기 위한 위선에 불과하다"고 비난했습니다. <br><br> 김 부부장은 한걸음 더 나아가 김일성, 김정일 시대에 비공식적으로 용인하는 태도를 보였던 주한미군 철수 문제까지 언급했습니다. <br><br> 평화가 깃들려면 미국이 전개한 침략무력과 전쟁장비들부터 철거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 3년 전 문재인 정부 역시 북한이 한미연합훈련을 이해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> <br> 김 부부장은 강대 강 선대 선 원칙도 꺼내들어 미국을 위협했습니다. <br> <br>[박원곤 /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교수] <br>“통신선 복원을 한 것이 결국 이런 북한의 핵 보유 정당화와 관련 핵무기에 대한 시험재개까지 염두에 둔 명분쌓기로 보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.” <br> <br> 복원됐던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통화와 군 통신선 정기통화는 모두 2주 만에 다시 불통이 됐습니다. <br> <br> 청와대와 정부는 북의 의도를 예단하지 않고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나가겠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 <br>영상편집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