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기억하시겠지만 지난해 남북연락사무소 폭파도 김정은의 위임을 받은 김여정의 경고 이후에 일어난 일이었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이렇게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만큼, 무력 도발까지 할 가능성이 있는지 유주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[현장음] <br>"쾅" <br> <br> 지난해 남북연락사무소 폭파 사흘 전, 김여정 부부장은 "위원장 동지와 당과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권한을 행사하여 다음 단계 행동을 결행할 것을 지시했다"고 경고했습니다.<br> <br>[조선중앙TV(지난해 6월)] <br>"오늘 북남관계가 미국의 농락물로 전락된 것은 전적으로 남조선당국의 집요하고 고질적인 친미사대와 굴종주의가 낳은 비극이다." <br> <br> 김 부부장의 오늘 담화 끝에 나오는 ‘위임에 따라 발표한다’는 대목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 한미연합훈련을 자멸적 행동이라고 비난하며 군사력 강화 카드도 다시 꺼내들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“어떤 군사적 행동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국가방위력과 강력한 선제타격능력을 보다 강화해나가는데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다.” <br> <br> 실제 북한은 지난 3월 한미연합훈련이 끝난 직후 두 차례에 걸쳐 단거리 순항미사일과 KN-23 신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도발을 단행했습니다. <br> <br> 다만 구체적인 추가 행동 예고는 없어 이른바 '레드라인'을 넘지 않는 중저강도의 도발을 할 가능성이 나옵니다. <br> <br>[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] <br>"단거리 발사체나 이 정도는 충분히 가능성이 있지만 판을 깨는 행동을 할 것 같지는 않다. 고강도 전략적 도발 가능성은 희박해 보입니다." <br><br>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"한미 당국이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 통일부 관계자 역시 위임에 따른 발표는 “북 당국의 입장이라고 확인하는 차원”이라며 확대 해석에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