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에서 총영사로 나가있는 우리 외교관 2명이 비위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 <br> <br>한 명은 직원에게 성적으로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는 의혹에, 또 한 명은 고급 와인 선물을 받아 청탁금지법 위반을 한 <br>혐의로 동시에 감사를 받게 됐습니다. 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해 12월에 부임한 권원직 주시애틀 총영사. <br> <br>지난 6월부터 자택 근무 중인데, 현지 직원에게 성적으로 부적절한 발언을 했다며 성비위 사건이 접수돼 피해자와 분리된 겁니다. <br> <br>현지 감사에 나선 외교부는 조사를 마쳤고 인사혁신처 중앙징계위원회에 징계 의결을 요구한 상황. <br> <br>권 총영사는 채널A와의 통화해서 성비위 혐의에 대한 답을 피했습니다. <br> <br>[권원직 / 미국 주시애틀 총영사] <br>"제가 전화 받기 곤란해가지고요. 죄송합니다." <br><br>미국 서부의 최대 도시, 주LA 박경재 총영사도 외교부 감사를 받았습니다. <br><br>신청 서류가 미비한데도 지인의 한국 비자발급을 담당자에게 강요했다는 의혹이 담긴 투서 때문입니다. <br><br>또 직원에게 막말하고, 고급 와인 등 고가 선물을 받아 청탁금지법을 어겼다는 의혹도 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 총영사는 문재인 대통령과 같은 경남고를 졸업한 교육부 공무원 출신 특임 공관장입니다. <br><br>외교부 관계자는 두 감찰 건에 대해 "진행 중인 사안이라 내용을 확인해 줄 수 없다"고 말을 아꼈지만 외교관의 잇딴 기강 해이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. <br> <br>뉴질랜드 주재 외교관 성추행 사건 등으로 거듭 지적 받았음에도 되풀이되는 겁니다. <br> <br>[강경화 / 전 외교부 장관 (지난해 10월 국감)] <br>"여러 사건·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제 리더십의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." <br> <br>정의용 장관 취임 이후에도 터져 나오는 비위 사안에 대해 외교관의 특권 의식에서 비롯된 거 아니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 <br>ys@donga.com <br>영상편집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