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백신 수급도 큰 문제인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기피 현상으로 버려지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50대 이상만 맞도록 권고했다가 30~40대도 잔여백신을 맞도록 연령을 낮췄는데, 이런 결정이 안전성이 아니라, 백신 수급에 따라 고무줄처럼 변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50대 이상만 맞을 수 있던 아스트라제네카 잔여백신의 접종 연령이 대폭 낮아졌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] <br>"아스트라제네카 잔여 백신을 30세 이상 희망자 대상으로 접종이 가능하도록 잔여 백신 접종안을 변경하여 시행할 예정입니다." <br> <br>폐기 물량을 줄이고 접종 속도를 높이겠단 겁니다. <br><br>"잔여백신 예약 시스템에 들어가보면, 제가 있는 서울 종로구 주변 남아 있는 백신이 보이는데 모두 아스트라제네카입니다." <br><br>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연령이 바뀐 건 처음이 아닙니다. <br><br>지난 4월 젊은 층에서 혈전증 부작용 우려가 나오자 접종 연령을 조정했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 (지난 4월)] <br>"30세 미만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 대상에서 제외합니다." <br> <br>실제 국내 30대 혈전증 사례가 발생하자 지난달 연령을 올렸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 (지난 7월)] <br>"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5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서 권고하기로 하였고…" <br> <br>한 달 반 뒤, 잔여 백신에만 적용한다며 또다시 낮춘 겁니다.<br> <br>정부는 30~40대가 선택할 여지를 넓힌 것이라지만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[김우주 /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과학적 근거라든지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, 안전성 감시, 위험을 과학적으로 조사하는 것도 아니고… 접종에 대한 불신이 커지는 거죠." <br><br>앞서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간격도 수급 상황에 따라 8주에서 10주, 또다시 11주로 늘렸다가 다시 줄였습니다.<br> <br>백신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 임기응변식 대응이 이어진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