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하루 확진자 13만명에 육박하는 미국은 2차 접종자도 추가로 백신을 맞는 부스터샷을 공식 승인했습니다. <br> <br>이스라엘도 부스터샷 대상자를 50대로 확대하면서, 백신 빈익빈 부익부가 계속되고 전 세계적으로 백신 수급 불균형이 심화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도 나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국 식품의약국 FDA가 코로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부스터샷 접종을 허용했습니다. <br><br>장기 이식을 받았거나 암 환자 같은 면역력이 약한 이들을 대상으로 모더나나 화이자 백신을 추가 접종하는 건데 미국 성인 인구의 3% 미만입니다.<br> <br>[키스 미세머 / 볼티모어 거주·장기 이식 후 부스터샷 접종] <br>"다른 사람들도 저처럼 항체 형성이 필요할 테니까요. 우선 좋은 결과가 있기만을 바랄 뿐입니다." <br> <br>특히 미국 내 델타 변이가 급속히 퍼지면서 앤서니 파우치 백악관 수석 의료고문 등 의료 전문가들은 부스터샷의 필요성에 대해 <br>강조해왔습니다. <br> <br>실제 플로리다와 오하이오 등에선 부스터샷을 무단으로 접종한 사례가 약 110만 명에 달할 정돕니다. <br> <br>60대 이상에게 부스터샷 접종을 세계 최초로 해온 이스라엘도 50대 이상으로 그 대상을 넓혔는데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백신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거란 예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우리 정부는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백신 3천 만회분, 1천5백만 명분을 계약했지만 <br> <br>내년이나 돼야 도착할 예정이라 과연 적절한 시기에 백신 수급이 되는 것인지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br>영상편집 : 김미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