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넘어…공예, 시대를 잇다

2021-08-14 0 Dailymotion

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넘어…공예, 시대를 잇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름다움과 실용성을 갖춘 우리 공예를 시대별로 만나볼 수 있는 전시들이 열렸습니다.<br /><br />팬데믹 시대에 일상과 소통의 의미를 되짚어보게 하는데요.<br /><br />최지숙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소박한 생김새의 고려 초기 주전자.<br /><br />고려 중기에는 우아한 곡선과 화려한 문양이 상감 기법의 절정을 보여줍니다.<br /><br />고려 공예의 정수로 불리는 주자는 차나 술을 담아 마시는 용도로 쓰였습니다.<br /><br />그 아름다움뿐 아니라,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소통의 매개체로서 사랑받았습니다.<br /><br />호림박물관은 이 같은 고려 주자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특별전 '따르고 통하다, 고려 주자'전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보물 1453호 청자 주자와 국보 281호 백자 주자를 비롯해 220여 점의 유물을 모은 대규모 전시입니다.<br /><br /> "팬데믹으로 소통이 부재한 시대를 시민들이 살고 있는데요 주자를 통해 소통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귀중한 자리가 됐으면 합니다."<br /><br />연계 전시 '통하고 만나다, 다반향초'에선 소통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백남준·이수경 작가의 작품을 조명합니다.<br /><br />조선 후기로 넘어오면서 공예는 점차 민간으로 확대됩니다.<br /><br />서구 문물을 수용하며 그 수요가 다양해지자, 대한제국은 공예의 산업적 가치에 주목했습니다.<br /><br />전통미에 실용성을 더한 근대 공예가 꽃을 피운 시기입니다.<br /><br />풍문여고 건물을 리모델링해 개관한 서울공예박물관에선 상설전 '장인, 세상을 이롭게 하다'를 선보였습니다.<br /><br />흙을 도자기로, 나무와 전복을 나전칠기로, 장인이 빚은 작품들을 통해 공예의 가치와 시대별 생활상을 엿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 "가까이에 있는 일상을 회복해보자는 의미, 그리고 그 일상이 결국 내 주변의 공예부터 시작한다는 메시지를 얻어가시면 좋겠습니다."<br /><br />사전 예약으로 운영되는 이번 전시에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공예품 600여 점이 관람객을 만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