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"는 '상전벽해'라는 말. 광복 이후 한국 경제의 눈부신 성장을 지칭하는 말인 듯싶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 일본, 양국의 지난 30년간의 주요 경제지표를 살펴봤더니, 한국은 원천기술력은 아직 열세지만 상전벽해라는 말처럼 이른바 '넘사벽'처럼 보인 일본을 추월한 게 상당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깝고도 먼 나라로 지칭되는 일본. <br /> <br />1990년 이후 30년은 부동산 등의 거품이 붕괴한 데다 저출산 고령화에 저성장 등이 겹쳐 흔히 '잃어버린 30년'이라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면 이 30년간 한일 간의 경제와 경쟁력 격차는 어떻게 변했을까? <br /> <br />거시경제 등을 바탕으로 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1995년 각각 26위와 4위였던 한국과 일본의 순위가 2020년 23위와 34위로 바뀌며 한국이 역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S&P 국가신용등급도 1990년에는 한국이 일본보다 4단계 낮았지만 올해는 한국이 2단계나 높고, 무디스와 피치 등 다른 기관의 평가도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또한 물가 등을 반영해 국민의 구매력을 측정하는 1인당 경상 국내총생산은 구매력평가 기준으로 줄곧 뒤지다가 2018년에 한국이 4만3천여달러로 일본을 추월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출액도 한국은 제조업 경쟁력 등이 일본을 앞지르면서 지난해 5천130억 달러로 일본의 80% 수준까지 추격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원천 기술력 격차는 한일 간. <br /> <br />감정의 차만큼 여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연구개발(R&D) 1천대 투자 기업 수에서 일본은 한국보다 5배 이상 많은 기업을 보유 중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의 소재와 부품 대일 적자 규모도 1994년 83억 달러에서 지난해 154억 달러로 2배 가까이나 증가해 좀처럼 좁히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봉만 / 전경련 국제협력실장 : 해외직접투자액 등에서는 여전히 일본과의 격차가 크고, 기초과학기술 분야 투자와 경쟁력에서는 크게 뒤떨어집니다. 정부의 적극적이고 장기적인 R&D 지원이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원천기술 경쟁력과 관련 있는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경우 한국은 한 명도 없지만 일본은 무려 24명이나 배출하는 등 '잃어버린 30년'을 상쇄할 잠재력은 여전히 막강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81505104180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