탈레반 재집권 아프간 앞날은…인권탄압 재연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20년 만에 다시 정권을 장악한 아프가니스탄의 미래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슬람 종교법으로 엄격한 통제를 했던 탈레반은 최근 여성 권리를 보장하겠다고 밝혔지만, 인권 탄압을 우려한 주민들의 탈출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년 만에 다시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의 통치 2기가 어떻게 펼쳐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탈레반은 1996년 집권 이후 2001년 미국에 의해 무너지기까지 이슬람 종교법을 앞세워 사회를 엄격히 통제했습니다.<br /><br />음악과 TV 등 오락이 금지됐고, 도둑의 손을 자르거나 불륜을 저지른 여성을 돌로 쳐 죽이는 가혹한 형벌이 허용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여성은 교육 기회가 박탈됐고 취업 등 사회 활동도 극도로 제한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탈레반은 최근 세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권리와 교육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슬람 종교법이 소홀히 되지 않는 한 남녀 모두 학교에 갈 수 있는 연령 제한은 없습니다."<br /><br />과거 집권 때 거센 비판에 직면했던 것을 의식해, 정상 국가로 인정받으려는 시도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탈레반 내 보수 강경파가 많아 변화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인권침해 우려에 주민 수십만 명이 피란 행렬에 나섰고, 이런 난민 규모는 300만명 이상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국제사회는 여전히 탈레반 정권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깁니다.<br /><br /> "어느 누구도 탈레반 정권을 인정하지 않기를 바랍니다. 아프가니스탄이 다시 테러 온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겁니다."<br /><br />'이슬람 신학생'을 뜻하는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은 1989년 옛 소련이 아프간에서 철수하자, 남부 칸다하르를 중심으로 세력을 키워 1996년 수도 카불을 손에 넣었습니다.<br /><br />신정일치를 지향하는 탈레반은 아프간에 은신 중인 9·11 테러 배후 오사마 빈 라덴의 인도를 거부하다, 미국의 침공에 와해됐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양귀비 재배와 밀수로 재건 토대를 마련해 세력을 확장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 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