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사율 100%, 돼지에게 치명적인 아프리카돼지열병(ASF) 바이러스가 강원지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벌써 다섯 번째 농가 감염이 발생하면서,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홍성욱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굉음을 내며 소독약을 내뿜는 차량. <br /> <br />돼지 농장 주변으로 쉴 새 없이 방역 작업이 이뤄집니다. <br /> <br />어미 돼지 2마리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걸린 강원도 인제 돼지 농장. <br /> <br />결국, 1,700마리가 넘는 돼지가 모두 매몰 처분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감염 경로가 불분명하다는 데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1일 농장과 불과 800여 m 떨어진 곳에서 ASF에 감염된 멧돼지가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울타리를 쳐 놓긴 했지만, 산속에 있는 농장으로 야생 멧돼지 접근을 100% 차단하기는 어려운 상황. <br /> <br />여기에 앞서 지난 8일 ASF 감염 판정을 받은 인근 고성지역 돼지 농장을 방문했던 차량도 다녀갔습니다. <br /> <br />[농장 관계자 : (감염 농장 다녀간)사료 차가 여기 사료를 싣고 왔었거든요. 여기도 또 (야산) 꼭대기에서 (멧)돼지 요만한 게 죽은 게 병(ASF)에 걸렸다고 하더라고요.]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강원지역의 경우 야생 멧돼지가 활동하는 야산은 사실상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에 오염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 농장으로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한 소독과 방역에 총력을 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농장 내부를 제외하면 주변 어디든 출입 제한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감염 멧돼지가 발견된 지역이라 해도 제약 없이 이동이 가능한 상황. <br /> <br />겹겹이 쳐놓은 울타리로는 멧돼지 이동과 바이러스 남하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은 이미 강원도 전역에 퍼진 ASF 바이러스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[조영석 / 대구대학교 생물교육과 교수 : 위험한 곡예를 하는 거예요. 지뢰밭을 막 뛰어다니면서 지금까지 안 터졌으니까 괜찮아 이러고 있는데, 터지고 있잖아요. 하나씩 하나씩.] <br /> <br />ASF 바이러스가 강원도를 벗어나 양돈 농가 밀집 지역인 경북과 충청지역으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되면서, 더욱 치밀한 방역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성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성욱 (hsw0504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1081720204038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