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바이든 “국익 아니면 안 싸운다”…미국 책임론 정면 대응

2021-08-17 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미국 바이든 대통령조차 탈레반이 이렇게 빨리 장악할지는 예상 못한 분위깁니다. <br> <br>하지만 미국 책임론이 불거지자 “국익 없는 싸움 반복하지 않겠다”며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싸울 의지 없는 나라에서 미국 젊은이들을 희생시킬 수 없다는 발언도 눈에 띄는데요. <br> <br>미국이 빠진 한국은 어떻게 될까, 현지에선 이런 글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. <br><br>유승진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휴가차 별장에 머무르던 바이든 대통령이 헬기를 타고 급히 백악관에 복귀했습니다. <br> <br>카메라 앞에 선 바이든, 아프간 철군에 대해선 단호했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<br>"제 대답은 명확합니다. 미국이 국익이 아닌 갈등 상황에 오래 머물고 싸우던 과거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습니다." <br><br>바이든 대통령은 무능한 아프간 정부가 탈레반에 수도 카불과 대통령궁을 내주고 수많은 난민이 발생한 것에 대해선 "속이 뒤틀리는 일(gut-wrenching)"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얼마나 더 많은 미국의 딸과 아들들을 아프간 군대는 싸우려 하지 않는 내전에 보내야합니까?" <br> <br>그래도 비난 여론은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미 20년 동안 아프간에 1천조 원 넘는 돈을 투입한데다, 2천 명 넘는 희생자까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바이든은 지난 6월엔 아슈라프 가니 아프간 대통령을 백악관에 초대해 백신 지원까지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[아슈라프 가니 / 아프가니스탄 대통령(지난 6월)] <br>"감사합니다 대통령님. 우선 2448명의 미국인들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합니다." <br> <br>세계 1위 강대국 미국의 역할을 기대했던 국제 사회는 실망감을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[앙겔라 메르켈 / 독일 총리] <br>9·11 테러 이후 테러와 자유를 위해 20년 동안 싸워온 다른 동맹국들에 쓰라린 일입니다." <br><br>한편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연설문을 담당했던 워싱턴포스트의 한 칼럼니스트는 SNS에 아프간을 한국에 비유하며 "미국 도움 없이는 한국도 무너질 것"이라고 밝혀 논란이 일었습니다.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promotio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재근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