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"미쓰비시중공업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게 5억 원을 배상하라"는 우리 대법원 판결을 일본 정부는 받아들이지 않았죠. <br> <br> 최근 우리 법원이 미쓰비시가 국내에서 받을 돈을 못 받게 압류했습니다. <br> <br> 기존에 승인됐던 자산 압류 방식보다 훨씬 빨리 현금을 받아낼 수 있는 방법이어서 일본은 바로 반발했습니다.<br> <br>공태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'전범 기업' 미쓰비시중공업이 한국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을 하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온 건 지난 2018년 11월. <br> <br>하지만 미쓰비시는 2년 9개월간 아무 조치도 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최근 법원은 미쓰비시의 국내 채권에 대해 압류 결정을 내렸습니다. <br><br>국내 기업 LS엠트론이 트렉터 부품 대금으로 미쓰비시에 지급해야 할 8억 5천만 원을 피해자 측이 받도록 한 겁니다.<br> <br>LS엠트론 측은 "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아픔을 충분히 공감한다"며 "법원 결정에 따르는 방안을 검토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일본 정부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. <br><br>가토 관방장관은 오늘 "(일본 기업 자산이) 현금화되면 한일 관계에 심각한 상황을 초래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피해자 측은 일본 정부의 반응에 비판의 목소리를 냈습니다. <br> <br>[임재성 / 강제징용 피해자 측 변호인] <br>"판결에 대한 협박처럼 들려서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이라고 봅니다." <br><br>우리 외교부는 법원 결정에 대해 "다양한 합리적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일본 측과 긴밀히 협의 중에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태현입니다. <br>ball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이준희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