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 또 전세대출을 중단하기 시작했습니다.<br> <br>가계부채가 1800조 원에 육박하면서 관리에 들어간 건데요.<br> <br>물론 관리할 필요는 있습니다.<br><br>하지만 “집값은 정부가 올려놓고 왜 국민만 조이느냐” 당장 이사를 앞둔 실수요자들은 애가 탑니다.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가을 이사철을 앞둔 실수요자에게 NH농협은행의 대출금지는 그야말로 폭탄. <br> <br>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선 '이사 앞두고 대출이 막혀서 큰일'이라는 하소연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이 쏟아지고 있고, 청와대 홈페이지에는 '위험은 개인이 알아서 판단할 몫이라며 과도한 대출 규제를 철회하라'는 국민청원까지 올라왔습니다. <br><br>신규 주택담보대출을 아예 막아버린 곳은 NH농협은행뿐이지만 다른 대형은행들도 가세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여기에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도 금융당국의 요청에 따라 신용대출 한도를 축소하며 대출 조이기에 나섰습니다.<br> <br>[이모 씨/40대 직장인] <br>"현금부자 말고는 집 사지 말란 소리 밖에 안되니. 3금융권(대부업체) 알아봐야 하는지 어떻게든 되는 곳으로 알아봐서 해야 되는 상황입니다." <br><br>올해 1분기 가계부채는 작년보다 10% 가까이 불어난 1765조 원. <br> <br>그 사이 아파트값은 올해 서울은 4.3%, 경기도는 14.1% 올랐고 정부의 고점 경고와 자신만만했던 3기 신도시 사전청약에도 매수심리는 꺾일 줄 모릅니다. <br> <br>대출 조이기로 매수세가 꺾이면 상승세도 주춤하지 않겠느냐는 게 정부의 시각이란 관측이 나오는 상황. <br> <br>[이은형/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] <br>"건수가 많지 않더라도 신고가 형성은 지속된 경우가 많습니다. 전반적인 부동산 가격 상승 추세는 변함없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." <br> <br>계속되는 정부의 부동산실험에 대출규제까지 더해지며 실수요자의 시름만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편집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