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, 대북 인도지원 논의…성김 "언제든 北과 대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방한 중인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가 북측을 향해 다시금 대화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북측에 대해 어떠한 적대적 의도도 갖고 있지 않다며, 언제 어디서든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고, 남북 협력사업에 대한 지지 입장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두 달 만에 다시 한국을 찾은 성 김 대표.<br /><br />'엄청난 안보 위기'를 경고하며, 날을 세운 북측을 향해 다시금 대화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의 북측 카운터파트와 언제, 어디서든 만날 준비를 계속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북측이 한미훈련을 '적대시 정책의 핵심'이라고 규정한 데 대해서도, 재차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은 북한에 대한 적대적 의도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. 지금 진행되고 있는 한미연합훈련은 오랜 기간 시행해온 방어적 정례연습입니다."<br /><br />아울러, 대북 인도적 지원 가능성을 여전히 검토하고 있다는 점도 명확히 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 측과 보건과 식수·위생 등 가능한 분야에서 북한을 지원할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겁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가능한 대북 인도지원에 대해 협의했고, 미측은 남북 대화와 관여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합니다."<br /><br />다만, 북한이 이 같은 메시지에 긍정적인 반응을 내놓을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앞서 북한은 김여정 부부장 담화를 통해 "미 행정부의 '외교적 관여'와 '조건 없는 대화'란 침략적 본심을 가리기 위한 위선에 불과하다"고 비난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김 대표는 한미 북핵수석협의 뒤 러시아측 카운터파트와도 만났습니다.<br /><br />이는, 러시아가 북한 문제 등을 고리로 중국 측과 밀착행보를 가속화하는 가운데 개최한 회의로,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대북 제재 결의의 완전한 이행을 당부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