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저항의 성지서 점령·탈환 반복…저항군 ‘최후 결전’ 준비

2021-08-24 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아프가니스탄 현지 상황은 점입가경입니다. <br> <br>아프간 수도 카불은 탈레반에 함락당했지만 여기 북부 지역은 이전 정부군과 탈레반이 점령과 탈환을 반복하며 충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내전양상으로 번지는 가운데, 탈레반은 미군에 협력한 아프간인에 대한 탄압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박수유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군 통역사로 일했던 아프간 주민이 받은 편지입니다. <br><br> CNN이 입수한 손글씨 통지문에는 재판에 출석하라고 적혀있고 탈레반이 사용하는 직인도 찍혀있습니다.<br> <br>탈레반이 두 차례 더 보낸 통지문에는 사형까지 명시됐습니다. <br> <br>'보복은 없으니 떠나지 말라'는 탈레반의 주장을 믿기 어려운 이유입니다. <br> <br>[누라가 하시미 / 전 영국군 통역사] <br>"네, 그들은 절 죽일 겁니다. 모두가 그들이 할 일들에 대해 두려움에 떨었어요." <br><br>정부군과 민병대로 구성된 저항군은 아프간 북부 판지시르 계곡에서 최후의 결전을 준비 중입니다.<br> <br>이 곳은 지난 1980년 소련의 아프간 침공 당시 정부 군이 적의 공세를 9번이나 막아낸 곳으로 유명합니다. <br><br>반군 지도자는 아프간 '국부'로 불리는 아흐마드샤 마수드의 아들인 아흐마드 마수드.<br> <br>마수드는 2차 세계대전 당시 "프랑스는 전투에선 졌지만 전쟁은 지지 않았다"는 드골 장군의 말을 인용하며 국민들의 지지를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탈레반도 반군의 점령지를 에워싸고 최후통첩을 보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여기는 판지시르 지역이다. 그들에겐 4시간이 주어졌다. 항복하면 좋고, 그렇지 않으면 처벌받을 것이다." <br> <br>일촉즉발의 위기상황이지만,협상의 여지는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탈레반은 아프간을 떠난 "가니 대통령을 용서한다"며 "귀국을 허용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국제사회의 동정을 얻어 경제적 원조를 받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donga.com<br />영상편집 이혜진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