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7개국, G7 정상이 아프가니스탄 상황에 대해 논의했지만 미국과 탈레반이 못 박은 이달 말 대피 시한을 연장하는 데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G7은 그러나 탈레반이 그 이후에도 안전한 출국을 보장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G7 정상은 이달 말로 다가온 철수 시한을 포함해 아프가니스탄 문제의 공동 대응을 위해 머리를 맞댔습니다. <br /> <br />시한 연장에는 실패했지만 대신 탈레반이 이후에도 안전한 출국을 보장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G7 의장국인 영국의 존슨 총리는 화상으로 열린 긴급 회의를 마친 뒤 "대피와 관련한 공동 접근뿐만 아니라 탈레반을 어떻게 상대할 것인지에 대한 로드맵에 합의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"첫 번째 조건은 이후에도 안전한 출국 통로를 보장하는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보리스 존슨 / 영국 총리 : G7이 요구하는 첫 번째 조건은 8월 31일 이후에도 그들(탈레반)이 안전한 통로를 보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존슨 총리는 G7이 상당한 경제, 외교, 정치적 지렛대를 가진 만큼 탈레반이 이 제안을 수용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, 프랑스, 독일의 불만이 있었지만 미국과 탈레반이 못 박은 시한은 바뀌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유럽연합은 올해 아프간에 대한 인도적 지원 예산을 4배로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/ 유럽연합(EU) 집행위원장 : EU 집행위는 (올해 아프간 관련) 인도적 지원 예산을 거의 4배로 늘릴 것입니다. 20억 유로 이상으로 증액합니다.] <br /> <br />G7 정상은 "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판단하겠다"며 "탈레반이 테러를 막고 여성과 소녀, 소수민족의 인권을 책임지라"고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상들은 "향후 아프간 정부의 정당성은 국제적인 의무와 약속을 지키기 위해 취하는 접근 방식에 달려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82506164526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