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은 발칵 뒤집혔습니다. <br> <br>아프간에서 철수 직전에 최근 10년 사이 가장 많은 미군 희생자가 나온 참사가 터지면서요. <br> <br>바이든 미 대통령은 눈물을 흘리며 보복과 응징을 다짐했지만, 그렇다고 이제와서 철수를 안 할 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입니다. <br> <br>미국 여론이 들끓고 있는데요. <br><br>미국 워싱턴 유승진 특파원 연결해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유승진 특파원, 백악관이죠? 분위기는 어떻습니까?<br><br>[리포트]<br>유승진 특파원, 백악관이죠? 분위기는 어떻습니까? <br><br> 네, 철군 시한을 닷새 앞두고 테러 소식이 전해진 어제 바이든 대통령은 최악의 악몽을 경험했습니다. <br> <br> 미 본토를 겨냥한 추가 테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워싱턴 D.C.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. <br><br>우리 시간으로 새벽 6시쯤,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예정에 없던 대국민 연설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 첫마디부터 "힘든 하루"라며 복잡한 심경을 내비쳤는데요. <br> <br> 바이든은 이번 테러가 IS의 아프간 지부 격인 IS-K의 소행임을 명백히 하면서, 보복 의지를 천명했는데, 들어보시죠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우리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. 잊지 않을 것입니다. 끝까지 추적해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입니다." <br> <br> 이미 참모들에게 보복 작전을 명령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구체적인 공격대상으로 IS-K의 자산, 지도부와 시설을 꼽았는데 언제, 어떻게, 어디에서 이뤄질 지는 미국이 선택한다며 무력을 이용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레반과 평화협정에 서명한 지난해 2월 이후 아프간에서 미군이 숨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 <br>[질문2]오는 31일이 아프간 철군 시한인데, 추가 테러 가능성도 우려됩니다.<br><br>오는 31일이 아프간 철군 시한인데, 추가 테러 가능성도 우려됩니다. <br> <br> 이번 철군이 섣부른 결정이었다는 지적도 나오죠? <br><br> 아프간에 남은 미국인은 1000명 정도 추정되고 있고, 연락이 두절된 사람들도 많습니다. <br> <br> 추가 테러 가능성도 있어 대피 작전에 어려움이 예상됩니다. <br><br> 그동안 독단적인 철군 결정과 무질서한 철수 작전이 이어졌는데요, <br> <br> 남겨진 아프간 난민에 대한 방치 논란도 있어 유럽 우방들의 반대는 여전합니다. <br><br> 바이든에 우호적이었던 CNN 조차도 테러가 발생하면 위기가 정치적 재앙으로 바뀔 것이라고 보도했는데요, <br><br> 아프간과의 20년 전쟁의 끝은 험난해보입니다. <br> <br>백악관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<br>유승진 워싱턴 특파원 <br>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강 민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