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집값 안정에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며 긍정적인 해석을 내놓은 반면, 시장에서는 공급책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염혜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5개월 만의 기준금리 인상조치가 과연 집값을 잡을 수 있을지에 관심이 집중된 상황. <br /> <br />일단 정부의 해석은 긍정적입니다. <br /> <br />[노형욱 / 국토교통부 장관 : 대출에 대한 관리 이런 부분이 분명 도움이 되리라고 보고요. 주택에 대한 공급, 국민이 불안해 하시는 심리를 안심시켜 드리는 그런 조치들이 필요하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금리 인상으로 당장 다음 달부터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 금리가 오르고, 시중은행들이 대출을 조인 데 이어 금리까지 올릴 계획이라 이른바 '영끌'은 한층 더 힘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조치가 실제 매수세를 꺾을 수 있을지를 두고는 의견이 분분합니다. <br /> <br />금리 인상이 예고돼 있던 8월 넷째 주 수도권 아파트 매매 가격은 0.4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부동산원이 주간 통계를 작성한 뒤 9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4년 동안의 성적은 한 번은 성공, 한 번은 실패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 11월 말에는 기준금리 인상 뒤 6개월 동안 서울 아파트 값이 4.1% 상승해서 인상 전보다 오름폭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1년 뒤엔 금리 인상 뒤 6개월 동안 1.96%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엔 수도권 3기 신도시 건설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현재 '2·4 대책'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공급정책 '약발'은 시장에 먹히지 않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무주택자들의 불안 심리를 진정시키는 게 중요한데요. 속도감 있게 가시적인 공급성과를 내는 것이 현재로써 시장안정에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0.75% 정도의 기준금리는 매수심리를 가라앉히기엔 아직 낮은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이는 가운데, <br /> <br />국민이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정부의 신호를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염혜원입니다.<br /><br />YTN 염혜원 (hye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82818504270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