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정확히 2주 뒤면 9·11 테러 발생 20주년이 됩니다. <br> <br>테러 배후를 응징하겠다며 시작된 아프간 전쟁은, 출구를 빠져나가기도 힘겹습니다. <br> <br>미군 철군 시한이 겨우 사흘 남은 가운데 이번 같은 테러와 보복공격이 반복될 가능성도 높습니다. <br> <br>유일한 생존의 문 카불 공항 문이 닫히기 전에 사람들은 이 순간도 몰려오고 있습니다.<br> <br>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사망자 명단이 붙은 병원 앞에 사람들이 모여있습니다. <br> <br> 큰 부상을 당한 남편의 상태를 확인한 아내는 망연자실. <br> <br>[부상자 아내] <br>"남편은 산소 부족으로 위독한 상태입니다. 배와 다리에 부상을 입었고 등은 모두 찢겨 있어요." <br> <br> 카불 공항 입구에서 발생한 IS의 폭탄 테러로 숨진 아프간인은 하루 새 더 늘어 170여 명. <br> <br> 미군 13명과 영국인 3명을 포함하면 사망자는 200명에 육박합니다. <br> <br>부상자도 1300명을 넘었습니다. <br><br> 당초 2차례 폭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항 남동부 애비게이트 한 곳에서만 테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<br>[윌리엄 테일러 / 미 합참 소장] <br>"배런 호텔 근처에서 두 번째 폭발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확인해드릴 수 있습니다. 한 번의 자살 폭탄 테러였습니다." <br> <br> 카불을 장악하고 있는 탈레반이 이번 테러와 관련된 인물들을 붙잡았다고 외신은 전했습니다. <br> <br> IS 대원이 사용한 폭탄 조끼에는 폭발물 11kg정도가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탈레반은 테러가 발생한 게이트를 봉쇄하고 검문도 강화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공항으로 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 군인들은 수류탄 소음으로 해산시켜보지만 소용 없습니다. <br> <br>[아마둘라 헤라위 / 아프간 탈출 희망자] <br>"이곳에서 삶이 너무 어렵기 때문에 위험을 무릅쓰고 여기까지 온 겁니다." <br><br>뉴욕타임스는 “엄청난 규모의 비극을 슬퍼하면서도 탈레반에게서 탈출하려 필사적”이라고 현지 상황을 전했습니다.<br> <br> 미국의 아프간 철군 시한을 사흘 앞두고 다음 테러 목표는 피란민을 태운 수송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유주은 기자 grace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