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'술자리 문화'가 급격히 약해졌는데 오히려 술 수입액은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와인 수입이 폭발적으로 늘었기 때문인데, 술자리 급감의 반사 이익으로 와인이 맥주를 제치고 주류 수입 왕좌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술집과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가 좀처럼 풀리지 않으면서 울상입니다. <br /> <br />회식 1차를 하고 2차로 이어지는 것이 자연스러웠던 것은 이제 옛말. <br /> <br />술자리 자체가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술 수입액은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한해 수입액은 전년 대비 8.2% 증가한 11억 달러로 역대 최대. <br /> <br />올해 1∼7월까지 수입액도 전년 동기 대비 26.2% 증가한 8억 달러로, 최대치 경신이 확실시됩니다. <br /> <br />주류 수입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장 큰 이유는 이른바 '집콕, 홈술' 문화가 확산하면서 와인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승석 / 이마트 은평점 영업총괄 :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만 원 이하의 초저가 와인이 출시되었으며 이로 인해 와인에 대한 진입 장벽이 낮아져서 3만 원 이하의 와인이 많이 판매되고 있는 추세입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와인 수입액은 전년보다 27.3% 증가한 3억3천만 달러, 역대 최대 수준으로 수입량으로 따지면 5천400만 리터, 와인병 기준으로는 7천300만 병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올해 7월까지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증가한 3억2천500만달러로 이미 작년 연간 수입액과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반면 맥주 수입액은 2억 3천만 달러 가량으로 전년보다 19.2% 줄면서 와인에 수입 주류 1위 자리를 내줬습니다. <br /> <br />맥주는 일본산 수입이 줄고 국산 수제 맥주가 인기를 끌면서 수입액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 <br /> <br />맥주를 제치고 주류 수입 왕좌에 오른 와인. <br /> <br />코로나 사태 반사이익으로 와인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어 왕좌의 지위는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상우 (hwangb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83023202247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