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총파업 시한 다가오는데…정부·보건노조 입장차 여전

2021-08-31 0 Dailymotion

총파업 시한 다가오는데…정부·보건노조 입장차 여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와 보건의료노조가 14시간에 걸친 마라톤협상을 벌였지만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보건복지부 장관은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파업을 철회해줄 것을 호소했는데요.<br /><br />노조는 정부가 구체적 지원책 없이 소극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파업 강행 의지를 꺾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2차 협상에서 다시 머리를 맞댄 복지부와 보건의료노조.<br /><br />새벽까지 14시간 마라톤 교섭을 벌였지만 끝내 합의는 불발됐습니다.<br /><br />노조가 내건 8가지 추진 사항 중 일부 의견 접근도 보였지만 5가지 핵심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한 탓입니다.<br /><br />특히 간호사 1명당 돌보는 환자 수 기준 마련에 대해 재정 문제뿐 아니라 의료계 전반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게 복지부 설명입니다.<br /><br />복지부는 공공의료 확충 등 노조 측의 다른 요구에 대해서도 기본 방향성은 공유했지만 당장 시행 시기를 확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더군다나 4차 유행 상황에서 파업 강행으로 인한 코로나 환자 진료 차질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어떠한 경우에도 국민의 건강과 환자의 안전이 소홀히 돼서는 안 됩니다.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께 돌아갈 것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노조 측은 정부의 구체적인 실행 의지가 여전히 부족하다며 결단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현장에서 처절하게 싸우고 있는 간호사를 비롯한 보건의료 노동자들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지원과 대책을 마련하고자 했는지도 답을 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다만 양측이 파업 돌입 전까지 합의 의지도 내비치고 있어 극적 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실제 파업 참가 인원은 4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 가운데, 복지부는 응급센터 등 24시간 비상 진료체계를 유지하고, 병원급 의료기관의 평일 진료 시간 확대 등을 준비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