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 확진자가 다시 2천 명을 넘었고, 무엇보다도 수도권 확진자가 1415명.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 <br> <br>추석에 거리두기 조치를 완화할까 검토했던 방역당국이 진퇴양난에 빠졌습니다. <br> <br>허욱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오늘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025명. <br> <br>지난 11일 이후 4주째 더 확산되지도, 꺾이지도 않는 2천 명 안팎 확진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국내 발생 수도권 확진자는 역대 최다인 1415명으로 좀처럼 진정이 안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] <br>"휴가철 이동이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갔다가 비수도권에서 다시 수도권으로 복귀하는 분들이 현재 더 우세한 상황입니다." <br> <br>문제는 이틀 뒤 발표할 방역 대책입니다. <br> <br>추석 연휴를 포함해 앞으로 한 달 동안 적용할 지침인데 거리두기를 더 풀지, 조일지 진퇴양난인 상황입니다. <br> <br>[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(지난 6월)] <br>"올 추석도 추석답게 가족을 만나고, 적어도 가족끼리는 마스크를 벗고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…." <br> <br>벌써 코로나 발병 이후 네 번째 명절 연휴. <br> <br>오랫동안 가족 모임이 제한됐던 만큼 당국은 백신 접종 완료자에 한해 모임 금지 예외 적용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자칫 방역 완화 신호로 읽힐까 조심스럽습니다. <br><br>작년 추석은 확진자가 100명도 안됐지만 지금은 델타변이 확산으로 감염 위험을 비교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<br> <br>만약 예년처럼 민족의 대이동이 이뤄질 경우 시골부터 대도시까지 확진자가 폭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[정재훈 /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] <br>"백신 인센티브 같은 것들을 제공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만, 지금의 방역 태세를 그대로 유지하는 게 가장 적합하다고 봅니다." <br> <br>여기다 이번 주 공급 예정인 모더나 백신 600만 회 분마저 제 때 들어오지 않으면 상황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될 수 있어 금요일 발표를 앞두고 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허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최창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