테러 보복 다짐한 바이든…'드론 전쟁' 나서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이슬람국가 IS에 보복을 천명한 이후 아프가니스탄에서 2차례 드론공격을 감행했습니다.<br /><br />조 바이든 대통령이 테러 세력에 대한 응징은 끝나지 않았다고 밝힌 만큼 앞으로도 드론을 통한 공습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백나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대통령은 아프간전 종료를 선언하면서 전쟁은 끝났지만 테러 세력을 추적하는 일은 끝나지 않았다며 또 다른 전쟁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에 피해를 주려는 이들, 우리와 동맹에 테러를 가하려는 이들에게 분명히 말합니다. 미국은 멈추지 않을 것이고 용서치 않을 것이며 잊지 않을 것입니다. 지구 끝까지 추적해 엄청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미군은 철수했지만 테러 세력을 소탕하기 위한 군사 공격은 계속될 것임을 시사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정치전문매체 더힐은 바이든 정부가 아프간에서 드론을 이용한 공습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두 차례 감행된 드론 공습이, 미군이 아프간을 떠나도 군사작전은 지속될 수 있다는 메시지를 테러 세력에 전하기 위한 계획된 행동이라고도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은 이슬람국가 아프간지부, IS 호라산의 테러 공격 이후 두 차례 드론 공격으로 IS-K 고위급 인사 2명을 제거하고 폭탄을 실은 테러 세력의 차량도 명중시켰습니다.<br /><br />미군 철수로 군사적 대응의 선택지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드론 공격이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무인 공격은 정보 습득을 비롯한 여러 면에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어 우려도 나옵니다. 민간인 사상자를 낼 가능성을 수반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IS-K에 대한 미군의 두 번째 공습으로 어린이를 포함해 10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주둔 미군이 없는 만큼 무인 공격기가 아프간 외부에서 출격해야 하는데, 이는 곧 더 많은 유지 비용이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군사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백나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