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택배노조도 “노조원들의 괴롭힘이 있었다”는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고인을 죽음으로 내 몬 결정적인 책임은 노조원이 아닌 원청업체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유족은 고인의 마지막 목소리도 부정한다며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김은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택배 대리점 소장 이모 씨가 숨진지 사흘 만에 자체 조사보고서를 공개한 민노총 택배노조. <br><br>이 씨가 유서에서 언급한 괴롭힘이 있었다고 인정했습니다. <br><br>조합원들이 SNS 단체 대화방에서 이 씨에게 모멸감을 주고 비아냥과 조롱하는 글을 올린 걸 확인했다는 겁니다.<br><br>해당 조합원을 징계하겠다면서도, 법을 어기지는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노조원들의 일부 택배물품 배송거부도 불법파업이 아니었다고도 했습니다. <br><br>중량은 무거운데도 배달 수수료가 낮은 물품을 반납하는, 일종의 개선요청을 했다는 주장입니다. <br><br>택배노조는 하루에 이런 물건이 최대 180개였다며, 다른 대리점보다 규모가 작았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고인이 대리점을 포기한 것도 노조 때문이 아니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집을 팔아야 할 만큼 경제상황이 어려웠던 이 씨에게 대리점 포기를 유도한 건 CJ대한통운이라며 <br> <br>이 씨를 죽음에 이르게 한 '결정적 원인 제공자'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유족들은 거세게 반발했습니다. <br><br>유족은 입장문을 내고 "고인의 죽음을 모욕하는 패륜적 행위"라며 "확인 안 된 사실을 앞세워 고인의 마지막 목소리마저 부정하고 있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대리점연합회 측도 택배노조의 책임 회피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[김종철 / CJ대한통운 택배대리점연합회장] <br>"장례 절차도 마무리하지 않은 시점에 금전적 문제를 꺼내고, 또 하나 책임회피를 하기 위해 원청을 끌어들이고."<br> <br>CJ대한통운 측은 "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 슬픔을 달래드릴 상황"이라며 대리점 포기 압력 여부 등에 대해 구체적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<br> <br>채널A 뉴스 김은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영재 <br>영상편집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김은지 기자 eunj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