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제 3주 후면 추석인데, 밥상 물가는 오르기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과일은 물론이고 나물가격도 크게 올랐습니다. <br> <br>차례상 비용을 김단비 기자가 예상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오옥자 / 서울 서대문구] <br>“고사리, 시금치, 나물 종류는 도라지. 나물 종류만 하고 탕국이나 조금 하고.” <br> <br>[최경자 / 서울 서대문구] <br>“과일, 나물, 산적. 조상님한테 올리는 거니 될 수 있으면 한우 쓰려고 노력하고 있어요.” <br> <br>껑충 뛴 장바구니 물가에 격식 차린 푸짐한 차례상은 옛말. <br> <br>간소한 차례상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꼭 들어가야 하는 나물류와 과일 가격이 많이 올랐다는 겁니다. <br><br>고사리와 도라지, 시금치 등 나물류 가격은 지난해보다 20~25% 가량 올랐습니다. <br> <br>폭염이 길어진 탓에 산지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햇배와 햇사과가 본격적으로 출하되고 있지만 길게 이어진 가을장마 탓에 가격은 여전히 떨어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, 올해 4인 가족 추석 차례상 비용은 전통시장 기준 27만4500원, 대형마트를 이용하면 38만3820원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무, 애호박, 대파 등 채소류 가격은 안정됐지만 견과류와 나물류 가격이 껑충 뛰면서 체감 물가는 이보다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과일가게 상인] <br>“소비자의 첫 마디는 비싸다. 날씨 이상, 기후 때문에 과일가격이 비싸지는 건데 소비자들은 그런 게 와닿지 않으니까 첫 마디가 비싸다(고 말해요).” <br> <br>사과 등 과일은 출하량이 늘어나면 가격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10% 할인해 구입할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전통시장에서 장을 보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제수용 농산물이 큰 폭으로 오른 만큼 차례상 간소화 추세는 날로 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채희재 <br>영상편집 김미현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