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본 스가 총리가 취임 1년 만에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개최를 밀어붙였던 도쿄 올림픽이 결국 발목을 잡았다는 게 현지 분석인데요. <br> <br>올림픽 이후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민심이 등을 돌렸습니다. <br> <br>도쿄 김범석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스가 총리가 내세운 표면적인 사임 이유는 코로나 19 대책에 전념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총리] <br>“코로나 대책과 선거 활동 등을 모두 하려 하니 실제 '막대한 에너지'가 필요했습니다. 양립이 불가해 한 쪽을 택해야 했습니다." <br><br> 오전까지 일본 주요 매체들이 스가 총리 출마를 기정사실로 보고 주요뉴스로 다뤘기에 사임 의사는 갑작스러웠습니다. <br> <br>[니카이 도시히로 / 자민당 간사장] <br>"솔직히 놀랐습니다. (스가 총리가) 고심 끝에 결단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." <br> <br> 도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로 지지율 상승을 기대했던 스가 총리는 무투표 재선을 노렸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. <br><br> 올림픽을 치르면서 일일 확진자는 2만5000명까지 치솟았고, 지지율은 20% 대까지 추락했습니다. <br> <br> 오는 29일 새로 선출되는 자민당 총재가 일본 총리로 취임합니다. <br> <br>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이끌었던 기시다 후미오 전 외상이 출마 의사를 이미 밝혔습니다. <br> <br> 백신 담당인 고노 다로 행정개혁상과 이시바 전 자민당 간사장 등 여론조사 1, 2위 후보들도 출마를 고려 중인 가운데 한일 관계 개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고토 겐지 / 정치 평론가] <br>"아베-스가 노선에서 전환될 것은 분명합니다. 전 외상 기시다, 근린 외교 중시의 이시바 누가 되든 지금보다는 개선되지 않을까." <br><br>아베 전 총리에 이어 스가 총리까지 코로나19 확산에 발목이 잡히면서 일본 정국의 불안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이재근<br /><br /><br />김범석 기자 bsis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