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군이 떠나고 탈레반이 점령한 아프간에서 여성들이 거리로 나섰습니다. <br> <br>"충분히 울었다, 이제 침묵을 깨야 할 때라"며 여성에게도 교육 받을 권리 일할 권리를 달라고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탈레반은 새 내각에 여성은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강은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탈레반 정권 아래 50여 명의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이 용기를 냈습니다. <br> <br>아프간의 '용감한 여성들'로 불리는 이들은 일할 권리, 교육받을 권리를 주장하며 거리로 나섰습니다. <br> <br>탈레반 새 내각에 여성을 포함하라는 주장도 담았습니다. <br><br>하지만 탈레반은 "새 내각에 여성 장관은 없을 것"이라며 "다만 여성이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게 허용할 예정"이라고만 밝혔습니다.<br><br>반탈레반 저항군을 이끄는 아흐마드 마수드. <br> <br>저항군과 판지시르에 모여 전의를 다집니다. <br> <br>[반탈레반 저항군] <br>"지금 우린 판지시르 계곡, 전쟁의 최전선에 있습니다. 우리는 모든 병력을 이끌고 이곳에 왔고, 탈레반과 싸울 겁니다." <br> <br>탈레반과의 협상 결렬로 교전도 격화되는 양상입니다. <br><br>탈레반 대변인은 "판지시르주 11개 검문소를 점령했고 저항군 34명을 사살했다"고 주장했지만, 저항군은 자신들이 파르완 주도 차리카르와 전략적 요충지 살랑 지역을 탈환했다며, 탈레반과 상반된 주장을 펼쳤습니다.<br><br>아프간 접경 국가들은 밀려오는 난민에 사실상 국경을 봉쇄했습니다. <br> <br>과거 아프간 난민을 받아온 파키스탄은 "이제 충분하다"며 난색을 표했습니다. <br> <br>[무니르 아크람/ 주 유엔 파키스탄 대사] <br>"파키스탄에는 3백만 명의 아프간 난민들이 있고, 난민들 속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" <br> <br>이런 가운데 파키스탄 국경으로 아프간 난민이 몰리며 최소 한 명이 압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조성빈<br /><br /><br />강은아 기자 eun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