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고발 사주 의혹, 주장은 난무하는데 말들이 달라서 이해가 쉽지 않은데요. 정치부 송찬욱 기자와 무엇이 핵심이고 지금 어디까지 온 건지 짚어드리겠습니다. <br> <br>Q. 송 기자, 진흙탕 싸움이 되고 있는데, 지금 어디까지 밝혀진 겁니까. <br><br>총선을 앞둔 지난해 4월초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이 당시 총선 후보였던 국민의힘 김웅 의원에게 범여권 정치인에 대한 고발장을 보내 고발을 요청했다는 한 인터넷 매체 보도에서 논란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김 의원이 이를 뉴스 제보자로 추정되는 당 관계자에게 전달하면서 미래통합당으로 접수가 됐고, 이 일련의 사건의 정점에는 당시 검찰총장인 윤석열 전 총장이 있다는 주장입니다.<br> <br>국민의힘에선 접수된 문건이 없다고 선을 긋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(CBS라디오 '김현정의 뉴스쇼')] <br>"저희가 초기 조사를 해 보니까 그런 기록이 존재하지 않습니다." <br><br>아직 윤 전 총장의 구체적인 지시가 있다는 정황은 나오지 않았고, 손준성 검사는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며 법적 대응을 예고한 상태입니다. <br> <br>결국 이번 논란을 규명할 열쇠는 김웅 의원이 쥐고 있는 것입니다.<br> <br>Q. 들어보면 김웅 의원의 해명에 따라 퍼즐을 맞춰가고 있는 상황인데, 말이 오락가락 하고 있긴 하지만 한 번 맞춰보죠. 3가지 키워드로 정리를 해왔죠. 첫 번째 손준성 검사, 손 검사로부터 김웅 의원이 고발장을 받았냐가 핵심이잖아요? <br> <br>첫 보도 직후 구체적인 확인은 되지 않는다면서 "국회의원은 공익신고의 대상"이라며 애매하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그 다음 날에도 "누구에게 전달받았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"고 했는데, 오늘 채널A 통화에서는 손 검사와 "법리 검토 이야기는 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여전히 "손 검사에게 받은 게 없다", 이렇게 단정적으로 얘기하지 않고 있어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그렇다면 고발장 얘기를 해봐야겠네요. 인터넷 매체 뉴스버스는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 등에 대한 고발장을 공개하면서 검찰에서 김 의원에게 넘겼다고 주장하잖아요? 김 의원이 쓴 게 맞습니까? <br><br>김 의원은 처음에는 "전혀 기억은 안 나고 온 것을 전달만 한 것 같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어제 장제원 국민의힘 의원은 녹취록까지 공개하며 고발장을 김웅 의원이 만들었다, 이렇게 주장하면서 뭔가 실마리가 풀릴 것 같았는데요. <br><br>김웅 의원, 오늘 채널A에 "우리당에 있는 분한테 왜 혐의가 있는지 A4 용지에 손으로 써서 전달했다"며 고발장을 직접 작성하지 않았다고 부인하면서 고발장 작성자에 대한 의문도 해소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자신이 주도한 고발장이 있고, 의혹에 등장하는 고발장이 있다는 뉘앙스로 이해가 되는데요. 김 의원은 이 부분에서 오늘 새로운 주장을 했어요. 뉴스제보자. <br> <br>여기서 뉴스 제보자가 등장합니다. <br><br>제보자에 대해서는 인터넷 매체 보도에 "국민의힘 측 사람"으로 처음 등장합니다. <br> <br>김 의원은 그동안 제보자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다 오늘 처음으로 "국민의힘 쪽 캠프가 아닌 캠프에 가 있다" 이렇게 주장했는데요.<br> <br>이 말이 사실로 밝혀지면 고발 사주 의혹은 새로운 국면으로 바뀔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윤 전 총장 측에서는 누군가의 공작임이 밝혀졌다며 반격에 나설 수 있는거지요. <br> <br>하지만 민주당에서는 전형적인 물타기 정도로 보면서 아직까지는 크게 신경쓰는 분위기는 아닙니다. <br> <br>제보자가 누군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는데요. <br> <br>당 안팎에서는 2,3명이 거론되는데 당사자들은 모두 자신은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진행 과정은 정리가 된 것 같은데, 앞으로 이 사안은 어떻게 진행될까요? <br> <br>오늘 국회를 찾은 이철희 대통령 정무수석은 '야당 캠프 간 싸움이라는 소문이 있다'는 질문에, <br><br>"내 여의도 짬밥으로 보면 내 감으로는 그런 것 같다"며 "근데 왜 우리보고 정치공작한다고 걸고 넘어지나"라고 반문하기도 했는데요.<br> <br>당사자들은 부인하거나 기억이 안 난다고 하고, 증거도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실체 규명 보다는 야당 후보 캠프간, 여야 간 정치 공방만 지루하게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. <br> <br>Q. 김 의원이 내일 오전 기자회견을 한다면서요? 무슨 말을 하는지 취재가 됐습니까? <br> <br>시원하게 해명할 수도 있지만 가능성은 낮아보이고요. <br> <br>의혹 조작 가능성을 제기하며 여권을 공격에 상당 시간을 할애하지 않을까 이렇게 예상해 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