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택배 대리점 소장의 안타까운 죽음 이후, 다른 대리점에서도 민노총 소속 택배기사들이 폭력적인 언행을 했던 일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을 중의 을인 아르바이트생 앞에서 폭력적인 행동을 하거나, 대리점 소장에게 노조가 허락한 사람만 채용하라고 압박하기도 <br>했습니다. <br> <br>김태욱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사무실로 걸어 들어오는 남성. <br> <br>뒤따라온 남성이 말을 걸자 들고 있던 장갑을 던지고 위협적으로 다가갑니다. <br> <br>언쟁을 이어가다 손으로 책상을 내려치더니 끝내 엎어 버립니다. <br><br>주변의 누구 하나 말리는 사람이 없습니다. <br> <br>지난 3월 경남의 한 택배대리점, <br> <br>아르바이트생이 택배상자 분류 업무를 하다 봉변을 당했습니다. <br> <br>평소 아르바이트생은 택배기사별로 상자를 분류해 쌓아놓으면 되지만, 이 아르바이트생은 번지수별로도 구분하라는 지시를 <br>받았습니다. <br> <br>이를 거부하자 책상이 뒤집어지는 소란이 생겼습니다. <br> <br>[대리점주] <br>"이것도 갑질이죠. 어떻게 보면… 번지 따로, 아파트 따로, 구분해 놓으라는 거예요." <br> <br>경기도의 또다른 대리점에서는 노조가 택배기사 계약에도 압력을 가하는 내용의 녹취파일이 공개됐습니다. <br> <br>노조가 허락한 사람만 계약하라고 협박한 겁니다. <br><br>[택배노조 간부] <br>"노동조합이 허락하지 않는 사람이 들어오는 순간 전쟁이에요. 내 사람 박아. 다. 내가 면접 봐서 내가 넣어." <br><br>인사권과 경영권은 대리점 소장의 권한이지만, 파업을 볼모로 삼다보니 거부하기도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택배대리점연합회 관계자] <br>"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그냥 눈을 감고 노동조합이 희망하는 기사님과 신규 계약을 맺는 사례가 있습니다." <br> <br>채널A는 해당 노조 간부의 해명을 듣기 위해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습니다. <br> <br>해당 간부는 "죄송하다"는 말만 하고 전화를 끊어 구체적인 해명을 듣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미현<br /><br /><br />김태욱 기자 wook2@donga.com